부산 사상구의 한 거리에 제21대 대선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정혜린 기자현수막 등 다량의 선거 쓰레기가 환경 오염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이어지는 가운데, 부산지역 환경단체가 친환경 선거 문화 정착을 촉구하고 나섰다.
[관련기사 05.23 CBS노컷뉴스=몇 걸음마다 대선 후보 현수막…선거 끝나면 '오염 물질']부산환경운동연합은 9일 논평을 내고, "선거 쓰레기는 심각한 자원 낭비와 환경 오염을 초래하는 사회적 문제"라며 "기후위기 시대, 환경을 고려한 선거 문화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법적으로 선거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는 숫자가 정해져 있지만, 전국 단위 선거에서는 수만 장의 현수막이 한꺼번에 설치된다"며 "현수막 대부분은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 재활용이 어렵고, 선거 후 폐기 처리에만 수억 원이 소요되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선거 이후 엄청난 양의 선거 현수막이 버려지는 실정이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이 공개한 지난 3년간 부산 기초지자체별 폐현수막 수거현황에 따르면, 제20대 대통령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치러진 지난 2022년 부산지역에서 수거된 폐현수막은 모두 26만여 장에 달한다. 이는 2023년 19만여 장, 지난해 16만여 장과 비교하면 확연히 많은 수치다.
환경단체는 선거마다 배포되는 다량의 종이 공보물도 지적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이번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선거관리위원회가 전국에 발송한 종이 공보물은 모두 4700만여 부로, 발송비만 370억 원이 들었다.
이들은 "가정마다 배달된 공보물은 읽히지도 않은 채 폐기물로 전락하고 있다"며 "대규모 인쇄물은 제작과 배포, 폐기 과정에서 막대한 자원과 에너지를 소비할 뿐 아니라 상당량이 재활용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지역마다 많은 후보들이 출마하는 지방선거에선 더 많은 선거 홍보물이 사용된다며, 지방선거가 진행되는 내년에 더 많은 선거 쓰레기가 쏟아질 것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환경단체는 '환경을 고려한 선거문화'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하게 촉구했다. 이들은 "선거 현수막 또한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로 전환하고, 게시 가능한 현수막 수량과 크기를 대폭 제한해야 한다"며 "유권자가 신청하는 경우에만 종이 공보물을 제공하고, 디지털 공보물 시스템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민주주의의 절차가 환경 파괴를 대가로 치러져서는 안 된다. 공정한 선거만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방식의 선거를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