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재벌가 혼맥, '정·관계' 줄고 '재계·일반인' 늘었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정·관계 대신 재계 중심으로…혼맥 지형 변화
오너 3·4세대, 개인적 선택·공감형 결혼 선호
LS·LG·GS 등 기업 간 혼맥 활발

정몽구 회장 외손녀 결혼식. 연합뉴스정몽구 회장 외손녀 결혼식. 연합뉴스
국내 대기업 총수 일가의 혼인 관계가 과거 '정·관계 중심'에서 '재계 및 일반인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관료 집안과의 혼맥이 사업 확장의 연결고리 역할을 했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기업 간 이해를 공유하거나 개인적 선택을 존중하는 결혼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12일 발표한 '대기업 총수일가 혼맥 현황' 조사에 따르면, 2000년 이전에는 총수일가의 24.2%가 정·관계와 혼맥을 맺었으나 2000년 이후에는 7.4%로 급감했다. 반면 재계 집안 간 혼맥은 같은 기간 39.2%에서 48.0%로 늘었고, 일반 가정(연예인 포함)과의 혼맥도 24.6%에서 31.4%로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총수가 있는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 81곳의 총수일가 가운데 혼맥 관계가 확인 가능한 3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세대별로 보면 오너 2세의 정·관계 혼맥 비율은 24.1%였지만, 오너 3세는 14.1%, 오너 4~5세는 6.9%로 세대가 내려올수록 뚜렷하게 감소했다. 반면 재계 간 혼맥은 오너 2세 34.5%, 3세 47.9%, 4~5세 46.5%로 꾸준히 느는 추세를 보였다. 
 
대표적인 정·관계 혼맥 사례로는 HD현대, LS, SK그룹이 꼽혔다.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은 고(故) 김동조 전 외무부 장관의 딸 김영명 씨와, 구자열 LS 이사회 의장은 고 이재전 전 대통령 경호실 차장의 딸 이현주 씨와 각각 결혼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고 노태우 전 대통령의 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과 1988년 결혼했으나, 지난달 대법원에서 이혼이 확정됐다.
 
일반인이나 연예인과의 결혼도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이선호 CJ제일제당 경영리더는 아나운서 출신 이다희 씨와, 현대자동차그룹 4세인 선아영 씨(정성이 이노션 고문의 딸)는 배우 길용우 씨의 아들과 각각 혼인했다.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의 자녀 정유미 씨는 일반인과, 정준 씨는 세계적인 프로골퍼 리디아 고와 결혼했다.
 
지난 2022년 12월 여자골프 세계 랭킹 1위 리디아 고와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의 아들 정준 씨의 결혼식 장면. 연합뉴스지난 2022년 12월 여자골프 세계 랭킹 1위 리디아 고와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의 아들 정준 씨의 결혼식 장면. 연합뉴스
CEO스코어는 "과거에는 정·관계 혼맥이 기업 성장에 도움이 됐지만, 최근에는 정치권과의 연계가 오히려 감시나 규제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룹 간 혼맥 연결도에서는 LS그룹이 가장 두드러졌다. LS는 두산, 현대자동차, OCI, BGF, 삼표, 사조, 동국제강(KISCO홀딩스) 등 7개 그룹과 혼맥으로 연결돼 있었다. 
 
이어 LG와 GS가 각각 4개 그룹과 연결됐다. LG는 DL, 삼성, GS, 두산과 혼맥을 형성했고, GS는 LG, 삼표, 중앙, 태광과 이어졌다. 특히 GS는 범GS 계열로 확장하면 금호석유화학, 세아와도 연결된다.
 
이 밖에 현대자동차, 태광, BGF, 삼표 등은 3개 그룹과 혼맥으로 이어졌으며, 농심·한진·두산·코오롱·OCI·세아·아모레퍼시픽·애경 등도 2개 그룹 이상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돼 있었다.
 
이번 조사는 언론 보도 등 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총수 일가의 결혼 및 이혼 정보를 정리해 혼맥 유형을 분류한 결과다. 계열분리를 마쳐 독립 경영 중인 가문이나 창업 1세대의 결혼 사례는 제외됐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