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경기침체가 누른 '광군제' 열기…기간 늘려 매출 350조 달성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전년比 18% 늘어났지만 10월초부터 할인 개시

10여년 간 이어지던 광군제 열풍, 中내에서는 시들
부동산 침체, 내수 부진, 청년 실업에 구매욕 줄어들어
전문가들 "할인폭 낮다는 불만…소비의욕도 낮아"

[EPA=연합뉴스] 연합뉴스연합뉴스중국의 연중 최대 쇼핑행사인 광군제(光棍節·11월11일)에서 매출이 350조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대비 실적은 개선됐지만, 평년 대비 축제 기간을 늘린 탓에 경기침체가 광군제의 소비 심리마저 눌렀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로이터 통신은 12일(현지시간) 중국 데이터 분석 업체 신툰(Syntun·星圖數據)의 조사치를 인용해 올해 광군제의 총매출이 1조7천억위안(약 350조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매출인 1조4400억위안(약 297조원) 대비 18% 증가한 수치다.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가 11월 11일을 '연인이 없는 싱글을 위한 날'로 기획하며 2009년 시작한 광군제는 매년 큰 폭의 할인을 제공하며 구매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이 같은 열풍은 광군제 매출이 기존 세계 최대의 쇼핑 이벤트로 불렸던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의 매출액을 넘어서는데 기여했다.
 
하지만 최근 수년 동안 부동산 시장 침체, 내수 부진, 높은 청년 실업률 등이 영향을 미치면서 효과가 줄어들고 있다.
 
행사 기간이 점점 길어지고 있는데다, 연중 다른 할인 행사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올해는 알리바바와 징둥 등 거대 전자상거래 기업이 10월 초부터 솽스이(雙十一·쌍십일) 할인에 들어가며 행사기간이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했다.
 
이 같은 움직임에도 광군제에 대한 열기는 높지 않았다는 평가다.
 
과거 실시간으로 솽스이 매출 정보를 공개하고 행사 종료 후에는 대대적인 미디어 행사를 열었던 중국 거대 전자상거래 기업은 2022년부터 거래액 등 구체적 매출 수치를 내놓지 않고 있는데 올해는 더 공개를 꺼리는 모습이다.
 
알리바바의 양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타오바오(淘寶)와 티몰(天猫·톈마오)은 솽스이 행사가 끝났음에도 이날까지 현재 실적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징둥은 지난달 9일부터 전날까지 솽스이 프로모션 기간 주문량이 작년 동기 대비 60%, 구매 고객 수는 40% 증가해 이전 매출 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지만 총거래액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다.
 
솽스이 총거래액을 발표한 곳은 샤오미 정도로, 올해 행사 기간 자사 제품 총거래액이 290억위안(약 5조9700억원)을 넘었다고 밝혔다.
 
외신과 전문가들도 소비 진작 효과가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AP통신은 중국 소비자 분석 전문가 장야링을 인용해 "많은 사람이 올해 할인 폭이 그다지 크지 않다고 불평한다. 소비자의 피로감이 강하다"고 보도했다.
 
ING의 중화권 수석 이코노미스트 린 송은 "가정의 소비 의욕이 여전히 낮은 편"이라며 연초부터 정부가 가전제품과 자동차 구매 보조금을 지급한 것도 솽스이 할인 효과가 떨어지게 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