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수석대표는 이날 정전협정 60주년을 맞아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북한이 지난 3월 5일 단절한 유엔사-북한군간 직통전화와 관련, "북측이 직통전화를 단절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측은 자신들의 정치적 필요나 선전을 위해 수시로 유엔사-북한군간 직통전화를 단절했지만 서로 실질적인 필요에 의해 다시 복구되어 왔다"고 전했다.
전 수석대표는 이어 적군묘지에 안장된 중국군 유해 360여 구 인도 문제에 대해 "한중 양국간 유해송환이 합의된다면 유엔사 측에서는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며 "이에 따른 국제법적 제한은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국방부가 유엔사와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하기로 한 상태"라며 "아직 중국 측에서 정식으로 요청이 들어온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관련 법규를 사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비무장지대(DMZ)에 묻힌 6·25 전사자 유해발굴 문제와 관련해서도 "유엔사는 6·25 전쟁 때 전사한 모든 군인에 대해 송환할 의무가 있다"면서 "북한 측과 유해 발굴·송환 문제에 대해 항상 협상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전 수석대표는 북한의 유엔사 해체 주장에 대해서는 "유엔사의 해체 문제는 한반도 안보질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으로 유엔사가 미국 정부의 승인만으로 단독으로 처리할 사안이 아니다"면서 "미국 정부의 판단과 한국 정부의 입장을 반영해 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유엔사가 유엔의 정치·군사적인 지휘통제와 무관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유엔사 해체의 이유는 될 수 없다"면서 "유엔사는 한반도에 항구적인 평화가 정착될 때까지 정전협정 유지 책무를 다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사와 합참은 현재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이후 유엔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많은 논의를 하고 있다고 전 수석대표는 소개했다.
이밖에 그는 올해 한미동맹 60주년을 맞는 의미에 대해 "한미동맹을 맹신해 스스로 국가안보를 소홀히 하는 것도 문제지만 한미동맹의 역할과 의의를 모르거나 무시하는 것은 무지의 소산"이라며 "자주라는 구호가 매력적이긴 해도 전 세계적으로 자국만으로 안보를 책임지는 나라는 없다"고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지난 4월 취임한 전 수석대표는 국방부 대미정책과장, 합참 전략기획차장, 합참 전략기획부 전작권 전환 추진단장, 육군 제27보병사단장,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참모차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군정위 수석대표와 함께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과 지상구성군사령부 참모장 직을 겸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