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의 한 중학교 교사에게 최근의 안타까운 해병대 캠프 사망 소식은 남의 일이 아니다.
지난 5월 초 1학년 학생 200여명을 데리고, 괴산의 한 민간 수련원에서 보냈던 아찔했던 2박 3일 간의 야영활동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숙소의 고약한 냄새나 열악한 시설 등은 눈감고 참을 수 있는 일.
하지만 단체급식에서 이물질이 나오는 등 식중독까지 걱정해 할 정도로 열악했던 위생 상태는 지금 생각해도 어처구니가 없다.
당시 학생 인솔 교사는 "대형 식중독 사고라도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했던 것을 생각하면 지금도 아찔하다"며 "당초 계획했던 야영시설을 활용할 수 없게 되면서 급하게 대안을 찾다보니 어쩔 수 없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문제는 공공 수련원의 인원 수용 한계로 대다수의 학교들이 어쩔 수 없이 상대적으로 관리감독이 소홀한 이 같은 민간시설을 이용하고 있다는데 있다.
22일 충청북도교육청 현장학습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와 올해 야영수련을 실시한 도내 135개 학교, 3만 200여명의 학생 가운데 85%인 104개 학교, 2만 5,400여명이 민간 시설을 활용했다.
그러나 현재 민간시설은 학생 수 백 명을 며칠씩 데리고 위험한 활동을 하더라도 신고해야 할 의무가 전혀 없다.
관할 지자체로부터 수련원 허가를 받더라도 시설에 대한 점검과 관리만 이뤄지고 있는 현실이다.
전교조 관계자는 "민간시설은 교사나 학교가 원천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아이들을 빼돌려 운영하는 곳이 많다"며 "캠프 프로그램의 적정성이나 위험성 등을 점검.확인할 방법도 없어 학교 자체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주장했다.
게다가 도교육청은 지난 18일 '태안 캠프' 사고 이후에도 도내 일선 학교의 캠프 실시 현황조차 파악하지 않아 안전 불감증을 여실히 드러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오는 25일까지 실태파악을 벌이는 등 관련 대책에 나설 방침"이라며 "안전 상황을 재점검해 조금이라도 문제가 있으면 캠프 진행을 즉각 취소할 것을 일선 학교에 지시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충청북도교육청은 최근 교육부의 지시에 따라 오는 25일까지 도내 일선 학교에 야영활동 현황을 파악해 보고할 방침이다.
또 사설 해병대 캠프 참여를 금지시키고, 허가받은 시설을 이용할 것과 수련시설 종합 평가 결과를 반영해 업체를 선정할 것 등을 일선 학교에 지시했다.
이 밖에도 해안가 캠프에 참여할 때는 관할 해양경찰서에 통보하도록 하는 등 뒤늦게 관련 대책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