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들 3명의 여야 의원들은 법안이든 결의안이든 자신들이 '대표발의'한 게 하나도 없다. 김무성·이완구 의원은 동료의원 발의에 '공동발의'로 참여했을 뿐이고, 안철수 의원은 그마저도 없다.
김 의원은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일부개정안(서용교 의원 대표발의) 등 38건에, 이 의원은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태흠 의원 대표발의) 등 3건의 법안에 각각 공동발의자로 참여했다. 안 의원은 조만간 자금세탁 방지 관련법을 제1호 법안으로 낸다고 알려져 있다.
어쨌거나 4·24 동기 의원들은 19대 국회 의정활동 100여일이 되도록 자신의 법안을 하나도 내지 않은 셈이다.
통상 당 대표나 원내대표 등 당직을 맡고 있는 경우나 장관으로 입각한 경우 의원들의 법안 발의 실적이 저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은 당직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국회 관계자는 "법을 만들도록 헌법에서 직무를 보장받은 국회의원이 입법 활동에 소홀하다면 비판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친박계 좌장 출신 5선 중진(김무성), 의정·행정을 겸비한 '포스트 JP'(이완구), 잠재적 대권 후보(안철수) 등으로 평가되던 이들 의원들의 중앙정치 활약상도 별 게 없다. 거물이란 평가와 달리 정치 이슈를 주도하거나, 여야의 갈등을 중재하는 등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이들의 당선일성은 "성공한 대통령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 돕겠다"(김무성), "충청의 이익을 대변하겠다"(이완구), "반드시 좋은 정치로 보답하겠다"(안철수)였다.
김 의원은 대선과정에서 'NLL 대화록'을 불법 입수했다는 의혹에 휩싸인 채 은인자중하고 있고, 안 의원은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극한대치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존재감이 소멸됐다. 이 의원은 "당내에서도 동향 파악이 안된다"는 얘기가 나온다.
다만 김 의원은 '부정적' 의미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기는 하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김 의원은 사실 김재원 의원과의 '형님' 해프닝까지 그동안 아무도 기대 못한 방면에서 대단한 활약을 했다"며 "이들 셋 중 그나마 존재감을 드러낸 것은 김 의원 한 명 아니겠느냐"고 촌평했다.
다른 관계자는 "관건은 내년 지방선거다. 그때까지도 같은 양상이라면 이들 의원이 도태될 수 있다"며 "김 의원은 지방선거 전 당권 도전에 성공해야 하고, 이 의원은 충청권 맹주로서의 입지를 확보해야 한다. 안 의원은 그때까지는 제대로 된 정당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