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A/B형을 선택하는 학생 수의 변화에 따라 점수 예측이 곤란하고 그 결과가 대입 유·불리에 큰 영향을 미쳐 폐지 결정을 내렸다고 27일 밝혔다.
국어와 수학의 경우 이미 고 1,2학년은 A/B형에 따라 교육과정을 편성해 수업중인 상황이어서 폐지를 조금 뒤로 늦췄다는 설명이다.
수준별 수능인 A/B형은 수험생의 입시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이명박 정부에서 도입됐다. 학생 진로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입시 준비를 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수능 A/B형 도입이 학습 부담은 덜어주지 못한 채 수험생은 물론 대학에 혼란만 가중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
실제 올해 수능을 치르는 중하위권 수험생 상당수가 최근까지도 수능 A/B형 가운데 어느 유형에 응시할 지 결정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말 입시전문 교육기업 진학사 조사 결과 고3 수험생 773명 중 17%인 129명이 '일부 영역을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영어영역의 경우 수능 6월 모의평가에서 수준별 난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 어려운 B형에서 A형으로 갈아타야 할지를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고교 교사들도 수능이 A/B형으로 갈리면서 진학지도에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B형을 지정한 대학에 A형을 선택한 학생들이 응시하지 못해 대학선택 폭이 줄어들었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 1월 서울 주요대 입학처장들은 학생의 A/B형 선택과 대학의 A/B형 선택이 얽혀 대학입시가 더욱 복잡해졌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특히 수능이 A형과 B형으로 나뉘면서 수시 최저학력기준이 많게는 10,000개에 이른다는 분석결과도 있다.
입학처장들은 또 학생들이 진로에 따라 A/B형을 선택하기보다는 수능과 대입의 유불리에 따라 선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비판했다.
선택형 수능 혼란에 따른 불안감을 겨냥해 고액 입시컨설팅이 기승을 부린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당시 대학 입학처장들은 선택형 수능을 유보할 것을 촉구했고 서울지역 고교 진학지도 교사들 모임인 서울진학지도협의회도 유보쪽으로 입장을 정했다.
그러나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교총은 유보 반대 입장을 표명하는 등 사회적으로 큰 혼란을 겪었다.
결국 수능 A/B형을 처음 도입한 해에 바로 폐지 결정이 내려지면서 애꿎은 수험생들만 피해를 입게 됐다.
충분한 의견수렴 없이 도입한 수능 A/B형 제도가 폐지 수순을 밟으면서 책임론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