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 조류주의보 수도권에 영향
-국토부 아직도 4대강에 집착
-낙동강물 먹고자란 농수산물 위험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임미현 기자
■ 대담 :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4대강사업국민검증단)
녹조에 침수 우려, 그리고 대운하 논란까지. 4대강 사업 정말 말도 많고 탈도 많습니다. 그런데 이런 와중에 어제 한 일간지를 통해서 또 문제가 하나 더 제기됐습니다. 정부가 4대강 수질관리 과정에서 보의 수문을 개방할 경우, 지하수에 영향을 줘서 주변 토양이 황폐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한 건데요. 이 주장에 대해서 전문가와 환경단체들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요?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4대강사업국민검증단 소속이죠. 박창근 관동대 교수, 전화 연결 돼 있습니다.
◆ 박창근> 네, 지금 영산강에 조사 나가야 되는데, 인터뷰 때문에 잠깐 대기하고 있습니다.
◇ 임미현> 최근 보도를 보면 낙동강뿐만 아니라 영산강에서도 녹조가 아주 심화되고 있다던데, 실제로 어떤가요?
◆ 박창근> 영산강에도 최근에 녹조가 발생했다가 엊그저께 비가 많이 와서 조금 완화된 상황이긴 합니다. 하지만 낙동강을 포함해 저희들이 조사하고 발표를 했습니다마는 지금 썩은 냄새가 진동하는, 거의 시궁창 수준의 하천이 돼 버렸습니다.
◇ 임미현> 낙동강과 영산강 모두 같은 상황입니까?
◆ 박창근> 영산강 보다는 낙동강이 지금 제일 심합니다.
◇ 임미현> 거의 시궁창 수준이라는 말씀.
◆ 박창근> 네. 현장에 가 보면 썩은 냄새가 납니다.
◇ 임미현> 또 하나 살펴볼 것이 지금 남한강 일대에서 녹조의 주범이라고 할 수 있는 유해 남조류가 크게 번지면서 수도권 주민의 식수원을 위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는 보도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게 사실입니까?
◆ 박창근> 네, 오늘 뉴스를 보니까, 남한강에도 벌써 남조류가 발생했더라고요. 조류경보에서 주의보 수준으로, 다시 말해서 mm당 남조류 세포가 500개 이상이 되면 주의보가 되는데, 이미 그 범위를 초과했기 때문에 수도권의 식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임미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는 거군요. 그런가하면 어제 한 일간지가 정부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도 지금 논란입니다. ‘4대강 사업 때 강바닥을 너무 깊이 파서 강 인근 지하수보다 깊어졌다. 수질개선을 위해서 보를 철거해야 한다고 판단하더라도 철거과정에서 지하수가 고갈되고 주변이 황폐화될 우려가 있어서 정부가 고심하고 있다.’ 이런 내용이었는데, 어떻게 보셨습니까?
◆ 박창근> 지금 저도 그걸 보고, 참 이 국토부가 아직까지 4대강에 대한 집착을 가지고 있구나. 다시 말해서 이 잘못된 정책 같은 경우에는 빨리 거기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그 문제점을 밝히고 해결책을 찾아야 되는데, 지금 계속 꼼수를 부리고 있거든요. 제가 기사를 읽어보니까 4대강 수문을 열면 지하수가 말라붙는다는데, 즉 지하수가 고갈된다고 얘기했거든요. 이것은 전혀 사실무근입니다.
◇ 임미현> 사실무근입니까?
◆ 박창근> 지금 낙동강 하류 지역에서는 배수층, 즉 지하수가 있을 수 있는 층이 암반에서부터 위의 모래층인데, 거의 2~30m 되거든요. 그 지하수가 마른다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고. 그다음 그 주변이 황폐화된다고 했는데, 주변 같은 경우에는 농사를 짓지 않습니까? 주로 논농사하고 밭농사를 짓는데 논농사 같은 경우에는 논에 진흙으로 한 5, 60cm 정도 깝니다. 그 위에 벼농사를 하거든요. 그래서 그런 부분도 전혀 문제가 없고, 그다음이 밭농사인데. 밭농사는 낙동강 변에는 물이 잘 빠지기 때문에 땅콩과 같은 이런 농작물을 재배를 하거든요. 그래서 그것은 전혀 사실무근이죠.
◇ 임미현> 그렇다면 왜 이런 주장이 나왔을까요?
◆ 박창근> 이것은 결국 국토부 공무원들이 4대강 사업의 어떤 부당성을 계속 지적하니까 거기에 대한 자기방어라고 보고 있습니다.
◇ 임미현> 자기방어다? 그게 무슨 말씀?
◆ 박창근> 수문을 열게 되면 물을 확보했던 논리가 깨지게 됩니다. 물을 확보했는데 쓸모없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을 해야되는 거잖아요. 그리고 수문을 열고 나면 2~3일 내에 녹조가 없어질 거거든요. 그러면 보가 녹조발생의 주범이라는 것이 밝혀지기 때문에 4대강 사업을 추진했던 공무원들이 아주 강하게 반발을 하는 것이죠.그리고 이제 2, 3주만 버티면 ,그러니까 9월 초중순쯤 되면 녹조가 가라앉거든요. 그 때까지.. 지금 국민들의 압박이 거세니까, 그때까지만 버티면 된다라고 보는 공무원들의 안일한 태도, 국민의 건강은 생각도 않고 잘못된 사업에 대한 자기 방어적인 형태라고 봅니다.
◇ 임미현> 앞서 교수님께서 국토부가 '국민의 건강은 생각하지 않는다.' 라고 하셨어요. 이건 무슨 말씀이실까요?
◆ 박창근> 네, 지금 녹조가 퍼져서 거의 시궁창화 된 낙동강 물을 이용해서 그 주변에서 농사를 짓고 있거든요. 그러면 농작물에 독극물, 예를 들어서 ‘마이크로시스티스’ 라는 독성물질이 있는데, 간질환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죠. 이런 물질들이 들어간 물로 농사를 짓고 있다는 것이 큰 문제입니다. 또 그런 독성 물질 속에서 물고기들이 살고 있지 않습니까? 저는 이런 것들이 문제가 더 심각하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 임미현> 녹조물을 이용해 기른 농작물과 그 안에서 자란 물고기들이 인체에 해를 미친다는 말씀이신가요?
◆ 박창근> 네, 맞습니다. 일단 농작물이 독극물 속에서 자라나면 아무래도 독극물질이 축적되지 않겠습니까? 결국은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간접적으로 문제가 될 수가 있다는 겁니다. 물고기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독극물질을 먹으면 그것이 축적되고, 그것을 사람들이 먹으면 결국은 그 독극물질을 사람들이 먹는 꼴이죠.
◇ 임미현> 이 독극물질은 뜨거운 물에도 안 없어지나요?
◆ 박창근> 안 없어집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지금 현재 환경부는 ‘마이크로시스티스’라는 독극물질을 놓고 먹는 데는 전혀 이상이 없다고 하고 있는데, 지금 ‘마이크로시스티스’를 관측하는 기계는 사실상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비록 발암물질이 기준치 이하에 있다하더라도 국민들이 그것을 조금이라도 먹으면 안 된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 임미현> 오늘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