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수는 13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교학사의 출판포기 검토와 관련해 "교과서가 출판되지 않을 경우 기꺼이 동의할 저자가 있겠냐"며 불만을 나타냈다.
이 교수는 한국사 교과서가 반드시 출판돼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그런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교학사 관계자는 "발행 포기를 포함해 모든 경우의 수를 염두에 두고 있다"며 "다음주 중에 공식적인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명희 교수는 교학사가 끝내 출판을 포기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에 "그때 가서 판단해야 될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안 일어날 것이라고 희망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친일 사관과 우편향된 사관이 기술돼 있다는 지적에 대해 "검정기준에는 친일 같은 항목은 없고 대한민국 정체성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을 서술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면서 "그 점에서는 충실했다"고 강조했다.
교육부가 발표한 한국사 교과서 8종에 대한 재검토 방침과 관련해 이 교수는 "교육부의 의견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면서 "사실 오류를 바꾸는 건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강화도 조약이 개혁파의 주장과 고종의 긍정적 인식으로 체결됐다고 표현한 부분에 대해 "우리 내부에 긍정적인 의견이 없었다면 그런 조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당시 조선은 독립국이었고, 특히 일본에 대해서 종속적인 처지에 있지 않았다. 근대화와 개방이 불가피하다는 자주적인 판단에 의해서 맺은 것"이라고 강변했다.
이 교수는 "다만 당시 우리가 근대적인 국제법규에 밝지 못해서 내용에서 불리한 게 있었을 것"이라며 "불평등 조약이라는 것은 우리의 자주적이며 주체적인 의지와 상관없이 맺었다는 것인데, 그동안 사람들이 역사를 상당히 정서적으로 배운 것 같다"고 했다.
이 교수는 일제강점기 철도사업에 대해 '철도를 이용해 먼 거리 여행도 가능해졌고, 새로운 공간 관념이 형성됐다'고 서술한 대목에 대해 "철도를 부설한 목적은 일본의 침략 의도가 많았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이 부분은 일제 침략 정책에서 충분히 다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제 침략 속에서지만 우리 민족이 일제 시기를 어떻게 살았고, 우리의 삶을 어떻게 향상시켜왔느냐를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우리 민족의 자주적인 역량에 의해서 우리 민족의 삶을 향상시키는 결과가 있었다는 점을 공부할 수 있도록 역사 교과서를 서술하려고 했다"고 부연했다.
"학생들이 이 내용을 읽고 그릇된 판단을 할 수 있지 않느냐"는 지적에 대해 이 교수는 "고교 수준이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수정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