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30일 공개한 '2013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총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아직은 고령화 사회(인구의 7%~14%미만)에 머무르고 있다. 하지만 4년 뒤인 2017년에는 고령인구가 14%에 도달해, 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눈 앞에 두고 있다.
지난 2000년 노인 인구가 7.2%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지 17년 만에 고령사회로 편입될 예정으로, 우리사회의 고령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2050년이 되면 총인구의 37.4%가 65세 이상 노인으로 국민 3명 중 1명이 노인이 될 전망이다.
이미 국내 광역지자체 가운데는 고령사회로 진입한 곳이 6곳이나 된다. 고령자 비율이 21.4%로 최고인 전남을 비롯해, 전북, 경북, 강원, 충남, 충북 등 6개 도는 고령인구 비율이 14%를 초과해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광역시의 경우도 부산의 경우는 노인인구 비율이 13.2%로 고령사회에 근접했다.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울산으로 노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8%를 기록했다.
시군구별로는 전남고흥(33.8%)과 경북의성(33.2%), 경북군위(33.2%) 등 이미 초고령사회(노인인구 20% 이상)로 접어든 곳도 상당수 발견된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빠르다. UN의 인구추계에 따르면, 2040년이 되면 우리나라의 고령화율은 32.3%로 미국과 영국, 프랑스, 독일을 추월해 일본 다음으로 높아진다.
고령인구 증가에 따라 우리 사회의 부양부담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2013년 현재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당해야하는 노인 수는 16.7명으로, 생산가능인구 6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저출산 추세가 지속될 경우 당장 5년 뒤인 2018년에는 노인 1명을 부양하는 생산가능인구가 5명으로 1명 줄고, 2050년이되면 생산가능인구 1.4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하는 시기가 올 것이라는 예측이다.
단적인 예로 건강보험 진료비 부담만 해도, 지난 2005년에는 6조6백억원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16조4백억원 수준으로 무려 10조가 불어났다. 지난해 기준으로 건강보험 진료비 48조2,349억원 가운데 3분의 1이 65세 이상 고령자의 진료비로 지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