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포스트(WP)는 5일(현지시간) 미국 의회 의원과 전·현직 관리, 학계 연구원으로 구성된 '미국 정보기관들의 연구개발 프로그램 검토를 위한 국가위원회'가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위원회는 미국의 16개 정보기관의 연구활동 부서들이 서로 연계되지 않아 관리들조차 큰 틀에서 어떤 연구활동이 진행되고 있는지, 전체 연구개발에 들어가는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연구목표가 중복되거나 별로 중요하지 않은 연구활동에 큰 비용이나 자원이 투입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고 우려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운영하는 벤처캐피털 '인큐텔'(In-Q-Tel)의 전 최고경영자이자 이번 조사에 참여한 길먼 루이는 "고위 연구원들조차 다른 기관들과 공조가 잘되고 있느냐는 질문을 받으면 대부분 당혹스런 표정만 지었다"고 꼬집었다.
위원회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기관을 통솔하는 국가정보국(DNI) 산하에 연구활동 관리감독을 전담하는 힘 있는 직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를 통해 유망한 프로젝트에 더 많은 지원금이 들어가도록 조정하고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프로젝트는 중단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위원회는 촉구했다.
위원회는 이외에도 정보기관들의 연구활동이 사이버공격을 중단시키거나 네트워크를 복구하는 방법 등 사후 대책에만 쏠려 있다는 점을 문제로 꼽았다. 이보다는 공격의 사전 예측과 지적재산 보호를 위한 연구에 무게를 둬야 한다고 권고했다.
아울러 위원회는 에드워드 스노든 전 미국 중앙정보국(CIA) 직원의 폭로로 미국 정보기관들의 정보수집 대상 선별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이 여실히 드러났다는 분석도 내놨다.
정보기관들이 무작정 많은 정보를 수집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셜리 앤 잭슨 렌셀러폴리테크닉대 교수는 "미국 정보기관들이 정보를 선별해 수집하는 능력을 키운다면 더 좁은 틈으로 가치 있는 정보를 더 많이 수집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