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케이는 원자력발전환경정비기구(NUMO)가 2002년 폐기물 최종 처분장 후보지 선정작업을 시작했지만, 주민의 반대로 결론을 내리지 못하자 이같은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정부·여당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일본은 최종 처분할 방사성 폐기물을 올해 9월 기준으로 2천 점 넘게 유리화(琉璃化, vitrification)했으나, 최종 처분장이 마련되지 않아 아오모리(靑森)현의 롯카쇼무라(六ヶ所村) 등 전국 3개 시설에 임시 보관 중이다.
정책 전환을 검토하는 배경에는 전문가의 견해도 영향을 끼쳤다.
과학자로 구성된 일본학술회의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으로 일본 열도에 지각변동이 생겼다는 점을 근거로 '지하에 폐기물을 처분하는 현재 계획을 따랐을 때 환경오염 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단언하기 어렵다'고 작년 9월 판단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수십∼수백년간 폐기물을 중간 저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원전산업을 주관하는 경제산업성이 최종 처분장의 존재 방식에 대한 수정 작업에 착수했고, 자민당 자원·에너지전략조사회는 소위원회를 설치해 UNMO의 전면 개편을 검토 중이다.
일본 정부와 여당 내에서는 중간 저장을 위한 지상 보관시설의 건설이 유력한 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럼에도, 중간 저장은 임시방편이기 때문에 결국에는 영구처분 문제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수조 등에 1년가량 보관해 온도를 낮춘 사용 후 핵연료를 지하 500∼1천m의 암반층에 수백∼수십만년간 격리시켜 방사능을 감소시키는 것이 '영구 처분'이다.
인공암벽과 자연 암반이 폐기물과 지하수의 접촉을 막고 방사선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단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으며 지각 변동의 영향이 없는 안정된 지반 확보가 관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