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은 5일 기자간담회에서 "지방선거는 건곤일척의 중요한 싸움이고, 지도부를 바꿔 임하기에는 부적절하다"라며 "조기 전대보다는 선거대책위원장 체제로 선거를 치르는 것이 옳겠다고 여론이 수렴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른 핵심 관계자도 "조기 전대론에는 당내에서 호응이 크지 않고 일부 지역의 '언론 플레이'로 인식되고 있다"며 "전대는 지방선거를 치른 다음 7월쯤 실시하는 방안이 현재로서는 확실하다"고 말했다.
당초 조기 전대론은 지도부를 쇄신해 정국을 주도하고 6월 4일 있을 지방선거도 승리로 이끌어야 한다는 논리에서 나왔다. 임기에 맞춰 전당대회를 열면, 새 지도부가 '전임 지도부'의 공천이 끝난 상태에서 지방선거 뒤치다꺼리나 하고 만다는 점도 지적됐다.
'충청권에서 이긴 당이 항상 선거를 이겼다'는 논리로 '충청권 역할론'을 내세운 이완구 의원 등 충청권 의원들, 아울러 5월 중 치러질 후반기 국회의장 선거에 도전할 생각인 황우여 대표가 여기에 공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새 지도부가 지방선거를 대비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 '황 대표 외에 다른 최고위원들까지 동반 사퇴하는 것은 과하다', '황 대표의 정치행보 뒷받침으로 비쳐져 명분이 없다' 등의 반론에 따라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나 선거대책위원회(선대위)로의 한시적 체제전환론으로 정리되는 양상이다.
한 당내 인사는 "5월에 선출될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비대위를 구성하거나, 각 지역 중진들에게 권한을 주는 방식의 공동선거대책본부장 체제를 도입하는 대안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조기 전대론에 대해서는 특히 차기 총선에서의 공천권을 염두에 둔 유력 당권주자들이 탐탁치 않게 여긴 것으로 전해졌다.
당대표의 임기는 2년이기 때문에 조기 전대가 실시되면 차기 당대표는 2016년 4월 치러질 20대 총선 직전 또는 직후에 물러난다. 이 경우 총선 공천권 행사 가능성이 희박해지지만, 7월 전대 실시라면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현재 김무성 의원과 서청원 의원이 차기 당권에 근접한 것으로 거론된다. 김 의원은 최근 "당내 민주화를 위해 내가 역할을 하겠다"면서 당권 도전 의사를 밝혔고, 서 의원도 "당이 원하면 중역을 맡겠다"고 발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