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연설'과 각종 행사의 '모두발언'으로 나눴지만 두 항목을 합치면 박 대통령이 지난 1년간 어떤 곳에 관심을 뒀고, 어떤 부분에 신경을 덜 썼는지를 알 수 있다.
'한국', '대한민국'도 많이 사용했다. '한국'이 87회, '대한민국'이 66회 사용했는데, 주로 연설에서 많이 사용됐다. 모두발언에서 '한국'은 등장하지 않았고, '대한민국'은 12회 사용됐다.
'정책', '노력', '필요', '생각'등의 명사도 상위권에 랭크됐지만 대통령이 자신의 생각을 표출하는 데 사용한 것으로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려워 보인다.
박 대통령을 따라다니는 단어라고 할 수 있는 '신뢰', 원칙'은 각각 58회, 22회 사용돼 예상보다 적은 빈도를 보였다. '한반도', '북한'은 각각 60회와 56회 사용됐다.
박 대통령의 최우선 관심사인 '창조경제'는 86회 사용됐는데, 주로 연설에서 사용됐고(67회), 모두 발언에서는 19회에 그쳤다.
'경제'는 87회 사용됐지만 '세계경제' (14회)를 포함하면 101회로 늘어나고, '창조경제'까지 합치면 187회로 늘어나 박 대통령의 관심이 경제에 집중됐음을 알 수 있다.
경제관련 용어인 '중소기업'은 38회 등장했지만 '대기업'은 등장하지 않았다. '창출'은 59회, '투자'는 58회, '활성화'는 47회, '기업'은 38회 사용됐다.
또 하나의 관심사인 '일자리'는 81회 사용됐는데, 연설(31회) 보다는 모두 발언(50)에서 많이 보여진다.
역시 박 대통령의 관심 영역인 '통일(평화통일)', '여성', '문화'는 각각 40회, 44회, 64회 사용됐다.
그러나 '노동'이라는 단어는 한차례도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배', '배분'도 청와대가 제공한 자료에서 보이지 않았다.
박 대통령의 연설과 모두 발언에서 사라진 것은 이 뿐이 아니다. 대선 당시 박 대통령을 상징하는 단어 가운데 하나였던 '경제민주화' '통합' 등의 단어도 박 대통령의 다빈도 단어에 들어있지 않았다.
공약파기 논란을 일었던 '기초연금', '정당공천', '폐지' 등의 단어도 빈도수가 13회(연설), 11회(모두발언)까지인 청와대 제공 자료에 나타나 있지 않았다. '복지'도 13회 사용하는 데 그쳤다.
비정상의 정상화, 공공기관 개혁 등을 얘기할 때 자주 사용되는 단어인 '정상화'는 모두 발언에서 13회 사용됐다. 반면 '비정상', '공공기관' 등의 단어는 통계에 잡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