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신설합당’ 방식을 주장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이 한 차례를 남겨놓고 잠시 중단했던 시도당 발기인대회를 마친 뒤 창당을 해서 ‘당대당’으로 통합하는 형식이다.
3년 전 친노가 주도했던 ‘혁신과 통합’이 민주당과 통합한 모델이 대표적이다. 이해찬 전 총리와 문재인 의원이 주도한 혁신과 통합이 당시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5대5 비율로 창단준비단을 구성해 제3지대에 신당을 띄웠었다. 민주당 내부에서 반발이 거셌지만 통합의 반대로 비춰질 수 있어 큰 이탈은 없었다. 이번 통합에도 이같은 모델이 적용된다면 아이러니하게도 비노 지도부가 ‘역습’을 한 꼴이 된다는 분석도 나온다.
새정치연합은 이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통합신당을 다시 띄우는 과정에서 창당까지 마친 새정치연합은 당시의 ‘시민통합당’처럼 기억에서 사라질 것이란 우려에서다. 특히 페이퍼정당을 만들었다는 여권의 비판에 직면해야하고, ‘도로 민주당’이 되면서 사실상 흡수되는 모양새가 될 것이라는 걱정부터 앞선다.
반면, 새정치연합이 요구하는 통합 방식은 ‘흡수합당’이다. 새정치연합이 예정대로 시도당 발기인대회를 마쳐 창당을 마치는 것까지는 동일하다. 하지만 이때 만들어질 신당이 통합신당이고, 이곳으로 민주당을 ‘흡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지난 대선 당시 새누리당과 이인제 대표가 이끌던 선진통일당이 합당한 사례가 대표적인데 새정치연합 측에서는 안 위원장이 만든 당으로 민주당이 들어온다는 모양새를 취하게 되면서도 민주당이 선진통일당과는 달리 세력이나 규모 등의 면에서 실질적 우위에 있기 때문에 사실상은 흡수는 아니라는 점을 내세운다. 또, 통합신당 창준위 단계에서 선도탈당 없이 민주당 의원들이 당적을 갖고 참여해 자연스럽게 통합신당으로 들어오는 과정을 밟을 수 있다고 새정치연합 측은 설명한다.
하지만 제1야당인 민주당으로서는 당내 반발이 우려되는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운 안인 것만은 분명하다. 특히 통합신당 창준위의 법적 대표를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아닌 안 위원장이 맡게 된다는 점도 민주당에서는 고민의 지점이다.
이 때문에 양측이 같은 인원으로 발기인을 구성해 제3지대에서 가설정당을 만든 뒤 새정치연합이 자체 창당을 마치고 민주당과 함께 각각 새 정당에 합류하는 '3단계 통합론'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6월 지방선거가 3개월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현실적 무리가 따른다. 정당법상 공직선거 후보자등록신청개시일부터 선거일까지 사이에 합당된 때에는 선거일 후 20일에 효력이 발생하는데 이를 감안하면 데드라인은 5월 15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