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의 기디언 래치먼 외교분야 수석 칼럼니스트는 17일(현지시간) '역사교과서는 어떻게 전쟁의 단초가 되나'라는 제목의 기명 칼럼에서 "정치 지도자들이 과거를 다시 쓰기 시작하면 미래를 걱정해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러시아와 헝가리, 일본과 중국에서 최근 정치적 후원하에 벌어지는 역사교과서 개정 움직임은 국가주의 부흥의 경고 신호"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치권력이 공인된 단일 판본의 역사를 학교와 대중매체에 강제하고자 힘을 남용할 때, 교육은 선을 넘어 '세뇌'로 간다"고 썼다.
래치먼은 "역사교과서를 다시 쓰려는 국가주의적 시도는 아시아에서 우려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일본과 중국을 구체적인 사례로 들었다.
그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일부 교과서가 지나치게 '자학적인' 역사관을 취하고 있다는 생각을 내비쳐 왔고 이는 중국과 한국 정부를 격분하게 했다"고 짚었다.
그러나 "중국 스스로 국가주의적 목적으로 역사를 남용하는 데서 죄가 없는 것은 아니다"라며 "중국 역사의 '공식 판본'은 대중의 분노를 중국 정부가 아닌 이웃 국가를 향해 밖으로 돌리는 데 명확한 초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표준 역사교재 제작을 새로 추진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를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와 연결지었다.
그는 러시아 정부가 "우크라이나 새 정부 지도자들의 경우 나치와 같은 편에서 스탈린의 소련에 대항해 싸웠던 우크라이나인들을 이념적으로 계승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일관되게 이들에게 '파시스트' 이미지를 덧입히려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이나 아베 총리를 비롯한 정치 지도자들이 국가의 역사가 교육되고 기억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려고 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지만, 정당한 토론과 과거사의 정치적 남용은 구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