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팀은 하버드의대 정신건강의학과 모리죠 파버(Maurizio Fava) 교수팀과 함께 한국과 미국의 우울증 환자 5천300여명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한 결과, 우울증으로 자살을 생각하는 한국 환자의 비율이 미국의 두 배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한국에서 14개 대학병원의 환자 1천592명, 미국에서 14개 주요 대학병원과 41개의 클리닉의 환자 3천744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연구팀에 따르면 환자들의 우울증 척도(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는 우리나라가 14.58점으로 미국 환자의 19.95점에 비해 30%가량 낮았다. 하지만 삶의 질 척도(Q-LES-Q-SF)에서 우울증의 심각도는 한국이 39.15점으로 미국의 37.33점보다 약간 높았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우리나라 환자가 우울한 기분을 말이나 표정으로 표현하는 정도가 미국 환자보다 상대적으로 낮다는 분석을 내놨다. 즉 내면적 우울증은 심각하지만, 겉으로는 이런 우울증이 잘 표출되지 않는 셈이다. 우울증의 증상으로는 우리나라 환자가 불면증, 식욕저하, 불안, 체중감소, 건강염려증 등을 더 많이 호소했다.
특히 우울증 때문에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은 우리나라가 6.9%로 미국인(3.8%)의 두 배 가까이나 됐다. 이는 국가통계로도 확인되는데 2010년 기준으로 미국의 자살자가 인구 10만명당 12.4명인 반면 우리나라는 31.2명으로 미국의 약 2.5배 수준에 달했다.
전홍진 교수는 "우울증을 치료하러 와서도 본인의 우울증 정도에 대해 과소평가할 정도로 자신의 병을 표현하는 데 인색한 게 한국의 우울증 환자"라며 "하지만 이런 환자들이 실제로는 훨씬 심각한 상황에 부닥쳐 있어 시급한 치료와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 교수는 "우울증으로 인한 사회적 고통과 비용을 줄이려면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줄이고 우울증에 대해 보다 신중하고 세심한 관심을 기울이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임상정신약리학회(International Clinical Psychopharmacology) 최근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