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가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2일까지 여야 국회의원 전원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문에 응한 249명 중 92.77%인 231명이 개헌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개헌 반대 의견은 18명(7.23%)이 제시했다.
재적의원 300명 중 나머지 51명은 구속 또는 해외체류나 개인적 사정에 따라 연락이 닿지 않은 의원, "장관을 겸직하고 있어서 정치적 판단을 밝히기 어렵다"며 설문을 거부한 의원 등이다.
정당별로 개헌 찬성 의원 수는 새누리당이 116명, 새정치민주연합이 108명, 정의당 4명, 무소속 2명, 통합진보당 1명 순이었다. 개헌 반대 의원들은 새누리당 16명, 새정치민주연합 2명에 그쳤다.
개헌 찬성 의원 231명은 개헌안 의결 정족수인 '재적의원 3분의 2'(200명)를 압도하는 숫자다. 이들이 일치된 개헌안을 도출해낼 경우, 개헌안 발의(과반)와 가결 처리(3분의 2)까지 무난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얘기다.
뒤이어 '27년간의 사회변화에 맞도록 헌법을 고쳐야 한다'는 의견이 71명(26.59%), '5년단임 대통령제로는 책임정치나 안정적 국정운영이 어렵다'는 의견이 53명(19.85%)이었다.
기타 의견은 10명(3.75%)으로부터 나왔으며, '대다수 선진국이 대통령제를 채택하지 않고 있다', '총선 등 다른 선거와 대선의 주기를 일치시켜야 한다' 등이 있었다. 이밖에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6명(2.25%)이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도 "현행 헌법은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한을 부여하고 있는데, 집중된 권력을 분산할 필요가 있다"며 "기본권 조항이나 영토조항 등 사회·경제적 변화에 맞춰 손볼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강석훈 의원은 "개헌의 필요성이 전혀 없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개헌이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헌법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운영상의 문제가 더 큰 면이 있다"며 "현 상태에서는 민생과 경제발전에 더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김용남 의원은 "우리 정치토양에 비춰볼 때, 통일된 개헌안이 도출되기도 어렵고 개헌동력을 확보하기도 어려울 것"이라며 '이슈의 블랙홀'을 우려했다.
이같은 우려를 반영하듯 개헌 찬성 진영 일각에서는 '원포인트 개헌'을 제안하기도 한다.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은 "전면 개헌의 경우 광범위한 이슈가 불거져 사회적 혼란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4년중임 대통령제 등 권력구조만 일단 바꾸는 게 맞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