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분석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임완섭 부연구위원이 '보건복지 이슈&포커스' 최신호에 발표한 '최근 빈곤 및 불평등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공개됐다.
임 부연구위원이 연구원의 '2014 빈곤통계연보'와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3년 노인 빈곤율은 48.0%로 전체 빈곤율 13.7%보다 3.5배 높았다.
빈곤율은 가처분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중위 소득의 50% 이하에 속하는 비율을 가리킨다. 전체 빈곤율은 지난 2012년 14.0%에서 2013년엔 0.3%p 낮아졌지만, 노인 빈곤율은 변화가 없었다.
'독거노인'의 경우를 반영하듯, 노인층과 함께 '1인 가구'의 빈곤율도 47.2%를 기록했다. 또 여성이 가구주인 가구의 빈곤율도 32.5%였고, 한부모 가구의 빈곤율 역시 18.5%로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특히 전체 빈곤율 역시 가처분 소득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감소했지만, 지출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지출 기준 상대 빈곤율은 2012년 9.1%였다가 2013년엔 9.6%로 높아졌다.
소득 불평등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지니계수' 역시 가처분 소득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2012년 0.300에서 2013년 0.296으로 낮아졌다. 반면 소비지출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2012년 0.249에서 2013년 0.254로 상승 추세를 보였다.
이에 대해 임 부연구위원은 "저소득층의 소비 위축과 소비 양극화로 인한 현상일 가능성이 있다"며 "상대 빈곤율이 높은 집단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빈곤 완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