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013년 인수위 시절부터 복지사업이 대부분인 공약추진을 위해 세금을 추가로 걷지 않겠다고 강조해왔다. 박 대통령은 2013년 1월 28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고용복지분과 국정과제 토론회에서 “(기초연금과 관련해) 재정으로 충당하는 부분은 새로운 세금을 걷는 것이 아니라 이미 약속한 대로 정부의 불필요한 씀씀이를 줄이고 비과세.감면 조정, 지하경제 양성화 등의 방법으로 재정을 확보해서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발언을 시작으로 수차례 “증세는 없다”는 발언을 거듭해왔고 정부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이행에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 130조원이 넘는 돈을 마련하는데 비상이 걸렸다. 증세를 하지 않고 막대한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이었다.
대통령이 강조한 것 처럼 정부는 비과세 감면을 줄이고 지하경제를 양성화하는 등의 방법을 동원 백방으로 돈만들기에 나섰지만 박근혜정부 집권 1년에 거둔 성과는 세수 결손 9조원이었다.
국세청은 역외탈세를 잡아내기 위해 갖은 수단과 방법을 동원했지만 잘해야 수천억원의 세원을 찾아내는데 그쳤고 기획재정부를 비롯한 경제부처에서 나온 아이디어 가운데 1개가 바로 연말정산제도 개선을 통한 재원확보였고 핵심은 소득공제→세액공제로 연말정산방식을 바꾸는 것이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21일 “소득공제방식은 고소득자에게 유리한 방식이기 때문에 저소득자에게 유리한 세액공제로 바꿨고 여기서 나온 재원을 자녀양육지원 및 근로장려금 확대 용도로 쓰도록 설계됐지만 부족한 재원확충의 방편이었던 것을 완전히 부인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납세자연맹 김선택 회장은 이날 CBS노컷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정부여당이 2013년도에 연말정산제도를 바꾼 근본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정부 논리대로 보자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과세형평성을 위한 것이지만 입법취지나 정치적 내막을 보면 세수가 부족하니까 걷어야 하고 만만한게 근로자니까 급한김에 충분한 검토없이 추진하다 보니 이런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고 말했다.
집권 첫해 뿐아니다. 둘째 해에도 예산부처 공무원들의 가장 큰 숙제는 어떻게 재원을 확보하느냐에 초점이 맞춰졌고 그래서 나온 것이 주민세와 자동차세, 담뱃세 인상 등 서민증세 아이디어였지만 국민들의 조세저항과 야당의 반대에 밀려 주민세.자동차세 인상은 무산됐다. 정부 일각에서는 올해 인상을 재추진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정부가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을 어겨가면서까지 누리과정예산 즉, 0~5세 유아 보육예산을 지방자치단체에 떠넘기려던 행태 역시 세금을 추가로 걷지 못해 발생한 ‘정부의 돈가뭄’에서 비롯됐던 것에 다름아니다.
사정이 이런데다 이명박정부 때부터 추진돼온 친기업정책 기조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기업부담은 그대로인 반면 OECD기준 기업 창출 부가가치의 ‘기업종사자에 대한 분배율’은 최하위수준을 기록해 중간층과 서민층의 조세부담은 갈수록 증대되고 있고 체감부담은 이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이다.
새정치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21일 "지난해 법인세는 1조5천억원 줄고 소득세는 4조8천억원 늘었다"며 "이번 세금 폭탄은 결과적으로 재벌 감세로 구멍난 세수를 직장인에서 메우려고 한 꼴이다. 법인세 정상화만이 이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열쇠"라고 말했다.
회사내에 수백조원을 쌓아 두고도 세금을 덜 내는 기업과 힘들여 벌어들인 월급의 상당부분을 주택.전세자금 원리금 상환에 충당하고 추가로 증세부담에 허덕이는 국민들의 처지가 극명하게 대비된다. 13월 세금폭탄에 국민여론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