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핀테크 관련 규제완화 및 지원대책 쏟아져
물건을 살 때 스마트폰 간편 결제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앞으로 크게 늘 전망이다. 신용카드 번호와 카드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복잡한 절차가 없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금융결제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는 2008년 9억2천만 달러에서 2013년 29억7천만 달러로 3배 이상 성장했다.
우리 정부도 새해 들어 IT와 금융을 융합한 핀테크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 및 지원대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정부는 핀테크 산업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출시할 때마다 받아야 했던 보안성 심의와 인증방법 평가제도를 전면 폐지하기로 했다.
규제의 패러다임을 사전규제에서 사후책임으로 전환하겠다는 설명이다. 특히 온라인.모바일 기반의 신기술이 금융에 적극 수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핀테크 관련 업체들은 신기술을 만들어도 금융업계의 관행에 막혀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며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모바일 직불결제 서비스업체인 인터페이 김근묵 대표는 최근 “카드결제 인증으로 사용할 수 있고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도 있는 새로운 기술인 TZ OTP를 개발했으나 신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생태계가 형성이 안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핀테크 활성화 차원에서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금융권이 관행적으로 과거 규제 기준에 맞추려고 해 더 이상 앞으로 나갈 수 없다는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혁신적 핀테크 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금융권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 핀테크 활성화 핵심은 개인정보 등 보안 대책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새롭고 혁신적인 핀테크 기술을 적극 수용해 금융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폭제로 활용하겠다는 금융권의 전향적인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신 위원장은 또 금융권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는 외부 환경에 속도와 기대를 맞추고 있는 지 통렬히 반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금융회사에 대한 압박강도를 높이고 있지만 일부 은행들은 핀테크 신기술 도입에 따른 보안 사고를 걱정하며 속도조절을 하는 형국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보안성이 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이 터졌을 때 책임 문제가 불거지는 것이 은행권의 가장 큰 고민거리”라고 말했다.
핀테크 산업이 활성화될수록 개인정보 유출 사고 가능성은 높아질 수 밖에 없다. 개인정보 보호장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핀테크는 금방 열기가 식을 수 있다.
핀테크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규제완화와 함께 보안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