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마저 16일 남미 순방을 이유로 국내 부재 시 권한을 이 총리에게 넘기고 출국해버렸다.
사실상 '식물 총리'로 영도 설 것 같지 않은 총리는 이제 어찌 해야 할까.
부패와의 전쟁을 하겠다며 칼을 뽑아 고 성완종 전 회장을 겨눴던 이 총리는 이제 거꾸로 ‘사정대상 1호’로 지목받는 신세가 돼버렸다.
성 전 회장의 분노를 넘어 적개심에 불타는 화살은 정확히 이 총리의 급소를 적중시켰다.
성 전 회장은 죽기 직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 총리의 이름을 가장 많이 거명했고 심지어 직책까지 거의 생략한 채 이름만 부르는 대목들에서는 비아냥마저 묻어났다.
이 총리는 이제 야당은 물론 여당 내에서조차 사퇴 압박을 받는 지경에 빠져 원군마저 모두 잃은 상태가 됐다.
여당 내 중진인 이재오 의원과 김문수 위원장은 총리를 ‘공직 불능’상태로 규정하며 100만 공무원의 수장으로 진퇴결심을 내려야 한다고 차갑게 쏘아붙였다.
이들은 부패 문제로 수사를 받느냐 마느냐 하는 총리가 대통령의 직무를 대행할 수 있는지 문제삼은 대목은 야당의 목소리와도 비슷했다.
이 총리는 메모나 일방적 주장만 갖고 퇴진할 수 없다고 배수진을 치고 있지만 더욱 명백하고 일리가 있는 퇴진 사유를 넘을 수는 없어 보인다.
이 총리는 이미 말바꾸기를 넘어 거짓말까지 한 총리로 완전히 신뢰를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이미 지금 나온 매우 구체적이고 신뢰할 만한 정황만으로도 성 전 회장과의 부패고리는 분명해 보인다.
이 총리가 머뭇거릴 경우 박 대통령에게 더 큰 화가 돌아갈 수도 있다.
박 대통령은 이미 “부정부패에 책임이 있는 사람은 누구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고 국민도 그런 사람은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게이트 수사에 이 총리가 바로 부정부패 책임이 있는 당사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위험하다.
이 총리는 16일 세월호 1주년을 맞아 합동분향소에 추모를 하려다 소신을 밝히라는 유족들의 항의를 받고 문전박대 당했다.
이는 어쩌면 싸늘하게 등 돌린 민심의 시작일 수 있다.
이제 총리가 퇴진해야 하는 상황으로 점점 접어들고 있고 그 속도도 빨라질 것 같다.
대통령 부재 상황으로 당장 물러날 수 는 없으며 다만 그 시점 선택만 남은 것처럼 보인다.
박 대통령이 순방에서 돌아오는 27일까지 이 총리는 잠 못드는 밤들을 보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