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금융 평가, 1명이 한달 수백건…엉터리 평가서 남발

은행권 부실화 가능성 제기

자료사진 (사진 = 스마트이미지 제공)
기술신용평가기관이 작성한 평가서를 기반으로 기술금융 대출이 이뤄지고 있으나 ‘엉터리 기술신용평가서’가 적지 않다.

검수인력 1명이 한 달에 업체 수백 곳을 평가하고 평가자의 숙련도도 떨어지기 때문인데, 은행권의 부실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 “은행, 신뢰할 수 없는 보고서 토대로 대출 결정은 안돼”

최근 은행연합회가 기술신용보증기금, 한국기업데이터, 나이스평가정보 등 기술신용평가기관, TCB 3곳에 대한 기술금융실태조사를 벌였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14일 “업체당 40여건씩, 120여건을 조사한 결과 평가서에 매겨진 기술등급과 등급 결정에 대한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등 적지 않은 오류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기술평가 인력이 크게 부족한 데다 숙련도도 떨어져 업체에 대한 기술평가가 부실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7월부터 올 3월까지 9개월간 처리된 기술평가건수를 보면 기술신용보증기금 6천221건, 한국기업데이터 9천41건, 나이스평가정보 7천926건이다.

기술신용보증기금의 검수인력은 10명, 나이스평가정보는 5명에 불과하다. 검수인력 한명이 한 달에 수 백건을 평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기술금융 대출 신청 업체들에 대한 최종 검증은 수박 겉핥기식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다.

현장 검증에 나서는 평가 전담인력도 충분치 않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현장 평가인력 한 명이 한달에 20-30건을 처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특히 “평가인력의 숙련도가 떨어지는 것이 큰 문제”라고 말했다.

은행 간 기술금융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기술평가 수요가 크게 늘어났지만 인프라가 받쳐주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해당기업의 기술력을 보고 대출을 집행하는 은행들은 불만이 클 수 밖에 없다. 부실 평가서를 바탕으로 대출이 이뤄지면 은행의 건전성 문제가 대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무늬만 기술금융’인 사례가 늘면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점차 커지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서병호 연구위원은 “대출의 건전성 관리가 생명인 은행의 입장에서 신뢰할 수 없는 보고서를 토대로 대출여부나 대출조건을 결정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기술신용평가기관인 TCB와 은행간의 불합리한 계약이 기술금융 관련 사회적 비용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TCB가 기술평가를 한 기업에 대출이 발생해야 수수료를 더 많이 받는 계약구조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TCB가 수수료 수입을 극대화하기 위해 기업의 기술력을 과대 포장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은행과 TCB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술금융실태조사 결과와 개선방안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