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없는 메르스 전염 국가위기속에서 이 격언의 가치를 다시 한번 돌아본다. 대부분 질병은 자랑한다고 할 정도로 드러내야 한다.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다. 질병을 알려야 우선적 치료가 수반되는 건 당연하다.
평택 성모병원에 이어 '2차파동'의 진원지가 된 서울삼성병원의 메르스 감염사태도 '쉬쉬'하는 비밀주의가 가장 큰 화근으로 지적되고 있다. 병원은 감염자가 와도 몰랐고 감염이 확산됐지만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고 '뭉개기'에 급급했다.
삼성병원의 메르스 감염은 14번 환자(35)가 5월 27일 응급실에 오면서 부터다. 14번 환자는 30일 확정 판정을 받았다. 문제의 주택조합 총회에 참석했던 35번 환자(삼성병원 의사)는 14번 환자가 있는 응급실에 들렀다가 감염 됐다.
35번 환자는 6월 1일 확정판정을 받았다(본인은 6월 2일 통보받았다고 주장). 1일이든 2일이든 의사인 35번 환자가 14번 환자로 인해 메르스 감염이 됐기 때문에 삼성병원은 즉각 '비상조치'를 내렸어야 했다.
하지만 삼성병원이 어떤 조치를 취했는 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삼성 서울병원이 평택 성모병원에서 슈퍼감염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도 왜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았는 지 미스터리다.
삼성병원이 '선제적 조치'를 취하지 않은 사이 메르스 감염은 속수무책으로 번졌다. 닷새 뒤인 6월 6일에는 57번 환자(서울 중구청 공무원, 57)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57번 환자는 입원·가료중인 어머니 문병을 다녀 온 뒤였다.
삼성병원은 정부가 14번 환자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해 일어난 '사달'이라고 억울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차적 책임은 정부가 동선 정보를 제대로 주지 않은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삼성병원 설명을 십분 이해해도 메르스 전염이 병원내에서 삽시간에 번지는 과정에서 무사안일한 일처리는 비판 받아야 한다. 아마도 '일류병원'으로 메르스 전염을 자체 진압할 수 있다는 '오만'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는 35번 환자의 주택총회와 심포지엄 참석을 계기로 관련자 동선정보를 제공해줄 것을 삼성병원에 요구했다. 박원순 시장이 직접 나섰다.
박 시장은 8일 삼성 서울병원을 직접 방문하겠다고 통보했다. 서울시가 삼성서울병원을 우려하는 것은 병원 감염이 지역사회로 전염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고 최고의 처방은 투명성이라고 압박한 직후였다.
서울시장 방문에 부담을 느꼈는지 송재훈 삼성서울병원장이 8일 오전 서울시로 박 시장을 찾와 왔다. 비공개 면담에서 박 시장은 조속한 정보공개를 다시 한번 촉구했다.
하지만 송 원장은 "이미 정보자료를 질병관리본부에 보고했다"고 말했지만 배석했던 질병본부 관계자는 "자세한 내용이 없다"고 부인했다. 이에 박시장은 "삼성이 알아서 하겠지만 할 수 없는 일을 도와주기 위해 정보공개를 해달라는 것"이라고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와 전문가들은 메르스 감염이 알려지면 병원이 큰 손실을 본다는 불안, 우려, 걱정때문에 오히려 '메르스 전염병'이 확산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서울시 고위관계자는 "메르스 바이러스가 '공적이익' 보다는 '사적이익'을 앞세우는 대한민국의 구조를 파고 들었다"고 말했다. 대형병원도 중소병원도 '국가사회·시민의 이익'보다 '병원 이익'을 두고 주판알을 튕겼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복지부가 메르스 제 2 진앙지인 삼성병원을 감싸고 돈 것도 '사적 네트워크'가 강하게 형성됐기 때문이라는 의혹이 일고 있다. 대형병원과 관료들의 유착관계가 이번 사태를 키웠을 개연성이 높다는 의심이다.
다른 관계자는 "정부 발표든 병원 해명이든 뭐 하나 투명하고 클리어하게 정리되는 것이 없었다"며 "병은 알리고 처방을 적극적으로 찾았어야 했는데 관료나 병원 모두 각자도생을 꾀하다 이 지경에 이르렀다"고 개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