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인 가족을 간병하기 위해 삼성서울병원을 찾았다가 도리어 메르스에 노출되고 만 것이다.
당국 집계에 따르면, 16일 현재까지 발생한 확진자 154명 가운데 71명이 병원을 내원한 환자였고, 57명이 그들의 가족이었다. 거의 5대4의 비율이다.
그러나 이들 모두 보건당국의 관리 대상에선 빠져있었다. '격리 대상' 뿐만 아니라 그보다 낮은 단계의 관리 대상인 '능동감시대상'조차 아니었다.
당국은 "간병하는 보호자들도 분명히 (메르스) 노출 위험이 있다고는 판단된다"면서도 "보호자라고 해서 일률적으로 능동감시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추가 확진자들이 관리망에 없던 이유를 설명했다.
농동감시대상은 '2미터 이내 밀접 접촉' 기준에서 벗어나 격리 대상에 포함은 안되지만, 메르스 감염 가능성이 있어 하루 2차례 당국이 전화로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대상자를 뜻한다. 따라서 능동감시대상은 이동에 제한이 있진 않다.
당국은 특히 삼성서울병원의 경우, 메르스 온상지인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및 응급실에서 14번(35) 환자와 2미터 이내에서 접촉한 사람들을 관리 대상의 '최우선순위'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처럼 환자 가족을 포함한 보호자나 방문객 집단에서 뒤늦은 확진 사례가 속출하자, 애초부터 이들을 관리망에 포함시켰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당국은 "2미터 이내에 있었느냐, 아니면 같은 공간에 같이 머물렀느냐 등을 기준으로 격리시킬지 능동 감시할지를 구분한다"면서 "삼성서울병원의 경우 800명 정도 접촉 대상자가 확 늘어나다 보니 빠른 시간 내에 접촉 강도를 확인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또 "능동감시라고 해서 모든 사람을 다 자택에 격리할 수도 없다"면서 "예컨대 접촉이 되지 않았는데 자가 격리를 시킨다는 것은 너무 과하다고 생각한다"고도 덧붙였다.
아울러 당국은 국내 메르스 사태가 보호자들의 잦은 병원 방문 및 간병 문화로 더 확산됐다고도 분석했다.
권덕철 총괄반장은 "간병 보호자들이 통제받지 않고 환자들에게 노출됨으로써 병원 감염이 더 확산됐다"면서 "앞으로는 면회시간을 정하고 방문객에게 기록을 남기게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간병 보호자를 없애고 간호 인력에 의한 병원 입원서비스로 전환하는 등 병실 구조도 빠른 시간 내에 전환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