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의 진정성이 부족하고 사태를 무마하기 위한 고육지책의 성격이 짙다는 이유에서다.
문학평론가인 김명인 인하대 교수는 23일 CBS 노컷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신 작가의 언론 인터뷰 내용에 대해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신경숙 작가의 함량과 깊이가 여기까지가 한계인 것 같다"면서 "그에게 더 이상 진지한 자기 성찰과 사과를 요구하는 것은 이제 무의미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경숙 개인에 대한 비판보다는 우리 사회에 왜 '신경숙 현상'이 견고하게 자리를 잡게 됐는지를 더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신 작가가 그토록 오랜 시간동안 표절 논란에 휩싸였으면서도 그의 작품이 화려하게 포장되고 호평을 받으면서 높은 문학적 성취를 이룬 것은 한국 문학판 전체에 심한 왜곡과 시스템 교란이 있다는 방증"이라며 "앞으로 이런 '신경숙 현상'의 원인을 철저히 분석해 수정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영일 문학평론가도 "신경숙의 사과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우국'의 표절 여부를 명확히 인정하는 것이었지만 그는 '우국을 읽은 기억은 없지만 나도 내 기억을 믿을 수 없다'는 식으로 결국 빠져 나갔다"고 비판했다.
이어 "전체적인 인터뷰 내용을 보면 신 작가가 '기억의 착오'를 내세우고 '전설'을 작품집에서 빼는 선에서 이 사태를 무마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는 특히 "최근 야후 재팬에 신 작가가 우국을 표절했다는 기사가 메인 화면에 걸렸다"면서 "이는 국제적인 망신"이라고 말했다.
조영일 문학평론가는 소위 '문학 권력'으로 불리는 창비와 문학동네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이어갔다.
그는 "작금의 사태는 신경숙을 과대 포장한 문학동네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평가하고 창비에 대해서도 "당장 폐간하고 제2의 창간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한편 네티즌들도 신경숙 작가의 사과에 대해 "교묘한 말장난이자 회피성 발언"이라는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한 네티즌은 포털 사이트에 글을 올려 "청문회에 출석한 부패한 정치인들이 비겁하게 기억나지 않는다는 답변으로 책임 회피하던 게 생각난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네티즌도 "신경숙 작가가 깨끗하게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비는 용기라도 있었으면 했다"면서 그의 사과 내용에 아쉬움을 표했다.
한편 신 작가를 검찰에 고발한 현택수 한국사회문제연구원장은 "신 작가의 인터뷰 내용은 표절을 인정하지 않는 자기 변명"이라면서 "고발을 취하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