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머니들 "무능한 정부…얼버무려선 안돼"

7월 초 美연방법원에 위안부문제 해결 위한 집단소송 제기 예정

[YouTube 영상보기] [무료 구독하기] [nocutV 바로가기]


"얼마나 이 정부가 무능하면 이렇게 오랫동안 우리들 일(위안부 문제) 하나 해결하지 못합니까. 정부가 진짜로 한심합니다. 과거에 박정희 대통령 조약 맺을 때 알아서 단단히 했더라면 우리가 싸우지 않았겠죠.

그때 잘못한 대통령의 따님이 대통령이 되었고, 더군다나 여자라서 빨리 해결될 줄 알았습니다. 그러던 것이 이렇게 오랫동안 아직까지 해결을 짓지 못한 것이고요. 회담한다는 소리 듣고 '이번에는 좋은 일이 있겠구나' 했는데, 하는 꼬락서니가 가만 보니 또 얼버무릴 것 같습니다. 절대 그래선 안 됩니다."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 선 김복동 할머니의 목소리는 결연했다.

한일수교 50주년을 맞아 한일외교장관 회담이 열리고 정상들이 양국 리셉션에 찾아 화해무드를 연출하면서도 위안부 문제가 좀처럼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피해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이 또다시 거리에 나섰다.

김 할머니는 "정상회담도 좋지만 일본 정부가 과거사를 깨끗이 청산하고 민간인을 끌고 갔다는 것을 변명하지 말아야 한다"며 "과거에 자기네들 조상이 잘못했으니 법적으로 사죄하고 우리들 명예를 회복시켜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어 "우리 정부가 얼마나 무능하면 이 늙은이들이 몇십년동안 이 자리에서 아우성을 쳐도 이거 하나 해결 못해주나. 박 대통령도 미루지 말고 이번 회담 때 꼭 청산되도록 힘을 모아주면 고맙겠다"고 말했다.

23일 오전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쉼터인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국제소송 및 한일 수교 50년에 대한 피해자들의 기자회견’ 에 참석한 할머니들이 고개를 숙인 채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
김 할머니와 함께 일본대사관 앞에 나온 길원옥 할머니는 "그 사람들이 얼른 무릎 꿇고 사죄하는 꼴을 봐야 하는데…세상도 바뀌었으니 회개하고 사죄하는 모습을 빨리 봤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기도 광주 위안부 피해자 쉼터 '나눔의 집'에 살고 있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도 거동이 불편한 몸을 이끌고 수십 개의 카메라 앞에 서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유희남 할머니는 "박 대통령이 미국 일간지 인터뷰에서 위안부 문제가 마지막 단계라는 말을 보고 끝날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그렇지 않았다"며 "일본이 대한민국을 너무 얕보는 것 같았다"고 한이 서린 목소리로 말했다.

이옥선 할머니는 "과거엔 우리 힘이 모자라 한국을 뺏겼지만 지금은 아니지 않느냐. 우리 문제를 할머니들이 나서서 해야 하는가. 정부가 있지 않느냐"고 목청을 높였다.

이 할머니는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이제 얼마 남지 않은 할머니들이 살아 있을 적에 일본 왕이 무릎 꿇고 사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할머니들은 정부의 역할에 '큰 실망'을 하는 한편, 스스로 국제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나눔의 집과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피해자 유족 등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법원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집단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

위안부 피해자와 피해자 유족 등 등으로 꾸려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미국소송 실행위원회(실행위원회)'는 일본 정부의 공식적 사과를 기다리는 한편, '7월 초 집단 소송 제기'라는 카드로 전방위적으로 일본을 압박할 계획이다.

미국 소송 법률대리인인 김형진 변호사는 "지금까지 한-일 간 긴박한 움직임 등을 보며 계속 돌파구가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가졌지만, 조금도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매우 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할머님들이 계속해서 돌아가시고 이제는 역사의 진실이 묻혀질 것 같다는 안타까운 마음에 기다릴 수 없어 이 소송을 제기한다"고 소송의 이유를 말했다.

이번 소송은 나눔의 집에 살고 있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10명과 피해자의 유가족 등 1000명이 원고로 참여할 예정이고, 피고는 일본정부와 아베총리, 일본왕실, 전범기업 등을 모두 포함해 1만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나눔의 집 안신권 소장은 "일왕실까지 피고 대상으로 포함한 것은 전쟁이 일어날 당시 지도자로서 전쟁에 책임이 있다고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변호사는 "지난 2000년 워싱턴 법원에서 패소했을 때와 달리, 르완다·유고 등 내전으로 인한 전시 중 성폭력에 대한 국제법상 판례가 어느 정도 쌓여 있다"면서 "피고들의 불법 행위가 '현재 진행적 범죄'란 면에서 볼 때 승소 가능성이 높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