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의원총회에서 유승민 원내대표에 대한 책임문제를 토론했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뜻은 존중하되, 그렇다고 지금 원내지도부가 낙마해서는 안되겠다, 의원들이 원내지도부에만 책임을 전가해서는 안되겠다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고 말했다.
실제로 의원총회에서 발언에 나선 40여명 가운데 '유승민 책임론'을 제기한 사람은 친박계 김태흠·이장우 의원 등 5명 안팎의 소수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 수석대변인은 "당청 간 소통이 미흡했던 것은 사실이다. 유 원내대표도 미흡한 점에 대해 송구스럽다고 얘기했다"며 "그러면 앞으로 잘 풀어가면 될 일이지, 원내대표 물러나 새로 선거를 하고, 계파갈등이 비화되고 하면 국정운영은 점점 더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국회를 향해 '배신의 정치'라고 맹비난한 것에 대해서는 "확대해석할 필요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총선을 1년 앞둔 상황에서 이같은 발언이 나오자 청와대발 정계개편 가능성마저 거론되고 있다.
김 수석대변인은 그러나 "너무 많이 나간 해석이라 생각한다. 국정운영이 원활히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등을 총체적으로 판단할 때, 국회가 더 도와줬으면 좋겠다는 간절한 요구를 말씀하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야당이 국회일정 보이콧을 경고한 데 대해서는 "어제도 60개 이상 법안을 처리했어야 하는데 못했다. 법리적 논쟁은 해야겠지만, 국회 기능을 마비시켜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