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유승민 사과에도 '냉랭'… 연일 거취 압박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 긴급 의원총회를 마치고 나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새누리당 이날 의원총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을 재의결하지 않기로 당론을 확정했다. (사진=윤성호 기자)
박근혜 대통령을 향한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듭된 사과에도 청와대의 냉랭한 분위기는 연일 계속되고 있다.

국정 운영의 파트너로서 유승민 원내대표에 대한 청와대의 근본적인 불신이 해소되지 않고 있어, 사실상 유 원내대표의 자진사퇴를 압박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유 원내대표는 25일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재신임을 받은 뒤 '배신의 정치 국민 심판론'을 제기한 박 대통령에 대해 "송구하다"고 말한 데 이어 26일 정책자문위원 위촉식에서도 "(자신이) 박 대통령의 성공을 누구보다 간절하게 바라는 사람"이라면서 "박 대통령께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 저도 진심으로 최선을 다 하겠다"고 사과를 했다.


그러나 유 원내대표의 거듭된 사과에도 청와대의 냉랭한 분위기는 풀리지 않고 있다.

박 대통령의 정무특보인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청와대 거부권 행사의) 심각성에 대해서 의원들이 잘 모르고 있는 것 같다. 사태는 일단락된 것 같지 않다"며 "진정한 리더라면 거취를 (남에게) 묻는 게 아니라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유 원내대표의 거듭된 사과에도 박 대통령의 향후 국정운영에서 유 원내대표를 파트너로 삼아 같이 일하기 힘들 것이라는 근본 의문은 여전하다"고 밝혔다.

이런 발언들은 국정 운영의 파트너로서 유승민 원내대표에 대한 청와대의 근본적인 불신이 해소되지 않는 상황에서, 청와대가 유 원내대표의 자진 사퇴를 압박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물론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제기한 '배신의 정치 국민 심판론'을 박 대통령의 새누리당 탈당과 신당 창당 등 정치권 새판 짜기를 예고하는 움직임으로 해석하는 시각에 대해서는 강력 부인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새누리당이 어떤 당인가? 박 대통령이 천막당사까지 하며 만든 당이 아닌가? 그런 당을 왜 탈당하는가? 당이 있어도 국정운영이 쉽지 않은데, 대통령께서 당 없이 어떻게 국정운영을 할 수 있는가? 지금 탈당이 말이 되나?"라고 일축하며 "그렇게까지 비약하지 말 것"을 주문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도 유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유 원내대표 본인이 알아서 하는 것, 유 원내대표의 판단에 맡기는 것"이라고 말해 자진사퇴의 여지를 뒀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유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에 대해 "청와대의 메시지가 서로 엇갈리는 것이 아니"라며 "강온 양면이 있는 것이고 전략적 측면이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원내대표의 자진사퇴를 압박한 윤상현 정무특보가 "앞으로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라고 말한 것은 향후 친박계의 움직임과 관련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

국무회의라는 공식 석상에서 표출된 유 원내대표에 대한 박 대통령의 불신이 해소되지 않는 한 새누리당 내 친박계의 조직적 대응이 이어질 것임을 예고하기 때문이다.

한편 박 대통령은 전날 국무회의에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며 유 원내대표를 겨냥해 "여당의 원내 사령탑도 정부 여당의 경제살리기에 어떤 국회의 협조를 구했는지 의문이 가는 부분"이라며 "정치는 국민들의 민의를 대신하는 것이고, 국민들의 대변자이지, 자기의 정치철학과 정치적 논리에 이용해서는 안되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더 나아가 "정치적으로 선거 수단으로 삼아서 당선된 후에 신뢰를 어기는 배신의 정치는 결국 패권주의와 줄 세우기 정치를 양산하는 것으로 반드시 선거에서 국민들께서 심판해 주셔야 할 것"이라며 "그런 정치적인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것은 오직 국민들뿐이고, 국민들께서 선거에서 잘 선택해 주셔야 새로운 정치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국민들에 직접 심판을 호소하기도 했다.

과거 증세논란 때나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공론화 논란 때나, 정부에 사사건건 문제제기를 하며 엇박자 행보를 한 유 원내대표에 대한 박 대통령의 불만과 불신이 국회법 개정안 논란을 계기로 폭발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