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역풍 맞은 삼성·LG…애플은 '특수' 누려

삼성-LG는 ' 단통법 시행 후 '반토막

스마트폰 단말기 보조금에 상한을 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이 시행된 뒤 국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반 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이동통신, 전자 업계에 따르면 연간 1천200만대에 달하던 국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규모는 단통법 시행 이후 연간 600만대 수준으로 줄었다.

국내 프리미엄폰의 시장 규모는 작년 상반기만 해도 전체 휴대전화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했으나 단통법이 시행된 작년 10월 1일 이후 급격히 쪼그라들어 올 상반기에는 30~40%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이동통신사와 제조사들은 프리미엄폰 시장 규모가 급감한 원인으로 보조금 제한을 골자로 하는 단통법을 꼽는다.

소비자들이 그동안 100만원에 가까운 고가 스마트폰을 거리낌없이 살 수 있었던 건 이동통신사와 제조사가 자유롭게 제공하는 보조금 때문이었는데 이를 정부가 막으면서 프리미엄폰 시장이 자연스럽게 죽었다는 지적이다.

방송통신위원회가 고심 끝에 지난 4월 보조금 상한액을 올리기는 했지만 '언발에 오줌 누기' 수준(30만원→33만원)이어서 위축된 프리미엄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많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러한 단통법의 직격탄을 국내 제조사만 맞았다는 점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 국내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량이 곤두박질치고 있고 3위 제조사였던 팬택은 이동통신사 영업정지로 경영 악화에 빠졌다가 단통법이라는 결정타를 맞고 청산 위기에 내몰렸다.

반대로 사실상 프리미엄폰만 파는 애플은 단통법의 수혜자가 됐다. 보조금이 묶이면서 어차피 비슷한 가격이면 갤럭시S나 G시리즈 대신 아이폰을 써보자는 소비자들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애플은 작년 말 한국 시장 진출 이후 처음으로 점유율을 30%까지 끌어올리며 '단통법 특수'를 누렸다.


이에 LG전자는 최근 국회에서 열린 단통법 개정안 관련 논의 때 보조금 상한제를 폐지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 보조금을 더 묶어놓았다가는 시장이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는 위기감 때문이었다.

시행된 지 9개월 된 단통법은 제조사별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도 흔들어 놓았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약 60%를 기록했다. 한때 70%에 육박하던 삼성의 점유율은 단통법 시행 초기 50% 초반까지 빠진 바 있다.

반면 점유율이 10%가 채 안 되던 애플은 신제품 아이폰6의 인기에 단통법 후광마저 입으면서 판매량이 가장 떨어지는 2분기에도 20%에 가까운 점유율을 유지했다.

10% 후반에 머무르던 LG전자도 G4 출시 효과로 점유율을 20% 중반까지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출시한 전략 프리미엄폰 G4의 국내 판매량은 전작인 G3에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점유율은 오히려 상승하는 역설적인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LG전자가 G4 출시로 점유율 면에선 선방하고 있지만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 단통법 효과 때문"이라면서 "프리미엄폰 시장이 죽으면서 앞으로는 보급형 모델의 판매량에 따라 점유율이 등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최근 중저가 모델인 갤럭시 그랜드맥스를 하루에 7천대가량 판매하면서 점유율 회복에 상당한 힘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날 이동통신사들로부터 집계한 국내 스마트폰 점유율을 공개하면서 애플의 점유율이 아이폰6 출시 이후 급상승하기는 했으나 최근 다시 예전 수준(13.1%)으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또 아이폰의 인기가 식으면서 삼성전자(63.4%)와 LG전자(20.9%)의 점유율이 다시 아이폰6 출시 이전으로 돌아왔다고 설명했다.

미래부가 단말기 제조사별 시장 점유율을 공개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날 '분리요금제가 아이폰 판매량만 늘렸다'라는 언론 보도에 해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인데 업계에서 영업 비밀로 여겨지는 자료를 전격 공개한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 점유율만 봐도 미래부가 내놓은 점유율 수치는 실제 유통 단계에서 체감하는 정도와는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