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의원은 대통령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사퇴하지 않은 이유가 우리 헌법 제1조에 명시된 '민주공화국'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였다고 사퇴회견문에서 밝혔다. 대통령과 친박의 사퇴 요구가 민주공화국 헌정질서의 법과 원칙, 정의의 가치에 반하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공감한다.
대통령이 여당 지도부, 또 국회에 대해서 불만을 표출할 수 있다. 그러나 국무회의에서 여당 지도부에 대해 배신과 심판을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았다. 더구나 여당의 원내대표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가 아니라 헌법기관인 국회의원들이 선출한 자리이다. 대통령과 더불어 또 하나의 국민대표인 국회를 무시한 것은 대통령 스스로 국회법 개정안을 두고 말했던 삼권분립의 헌정질서를 망각한 것이었다. 사실 우리의 헌법체계를 보면 국민(제2장) 다음에 국회가 있고(제3장), 그 다음에 대통령이 온다(제4장제1절). 유신 독재 헌법에서는 대통령이 앞에 있고(제4장) 국회는 정부(제5장)보다도 뒤에 있었다(제6장).
지난 6월 25일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과 이후 청와대의 태도는 정책과 법률 차원에서 재의를 요구하는 국회법 개정안 자체가 초점이 아니었다. 박 대통령의 권위에 대한 도전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제왕적 통치 리더십을 다시 잡고자 하는 정치적 행위였다.
박 대통령은 늘 경제활성화와 민생정치를 말한다. 국회의 비협조와 야당의 발목잡기 때문에 이게 잘되지 않는다고 책임을 돌린다. 그러나 댓글정국, 채동욱 검찰총장 파동, 세월호 정국, 총리 인사문제, 그리고 이번 국회법 개정안 파동에 이르기까지, 대통령의 정국 혼란은 대부분 국회의 비협조나 야당의 발목잡기 때문이 아니라 대통령의 부적절한 정국 대응이 자초한 혼란이었다. 말로는 민생정치를 외쳤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권력정치를 우선해 온 것이다.
민주공화국 헌정질서에 어울리지 않는 '배신의 정치' 파동은 박근혜 대통령의 특이한 리더십과 권력정치가 초래한 면이 크다. 민생을 위한 통합의 정치 리더십이 절실하다. 더불어 비생산적 정치갈등의 제도적 배경이 돼 있는 현행 대통령제의 개편 필요성을 다시 실감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