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이 사물인터넷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최근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IoT와 제조업의 융합이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진행되고 있는지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해달라'는 문항에서 평균 48.3점을 줬다.
응답자의 46.6%는 우리 제조기업의 IoT 활용 인프라가 미흡하다고 답했다.
IoT 활용 촉진을 위해 가장 필요한 기술적 요소로 디바이스 부문은 센서(13명), 서비스 생태계 부문은 플랫폼 분야(19명)를 들었다.
전경련이 회원사 제조기업 대상으로 시행한 IoT 활용도 및 애로 설문조사(54개사 참여)에서는 응답 기업의 90% 이상이 IoT의 활용도 및 준비 정도는 낮다고 답했고 응답 기업 중 IoT를 활용하는 곳은 5.6%에 불과했다.
IoT 활용에 부담을 느끼는 주된 요인으로 비즈니스 모델 부족에 따른 위험성(37%)과 센서 탑재, 플랫폼 구축 등의 기술적 초기 비용(27.8%)을 꼽았다.
IoT-제조업 융합을 위한 정책적 건의사항에 대한 조사에서는 기술지원(37%)과 자금지원(27.8%)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의 올해 IoT 연구개발 예산은 239억원으로 전체 과학기술·ICT 분야 R&D 예산(3조9천520억원)의 0.6% 수준이며 성장동력 R&D 세액공제를 위해 신성장동력 기술을 1∼2년 주기로 심사해 포함시키고 있지만 IoT가 아직 포함되지 않았다고 전경련은 밝혔다.
전경련은 정부의 IoT 관련 R&D 예산 확대와 더불어 IoT R&D 기획 단계에서 제조기업의 현장 수요가 반영돼야 하며 IoT R&D 세액공제 등 관련 인센티브 확대를 촉구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본부장은“미국, 독일, 중국 등 주요국은 IoT를 제조업 경쟁력 제고의 주요 수단으로 지목하고 육성정책을 시행 중"이라며 "최근 성장이 둔화된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제조업과 IoT 융합을 촉진할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