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문재인과 '총선 룰 빅딜' 직접 나선다

국민공천제·권역비례·의원정수, '일괄타결' 가능성 처음 시사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사진=윤성호 기자/자료사진)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28일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총선 룰' 담판에 직접 나설 수 있다는 뜻을 처음으로 공론화했다.

여야 간 쟁점이 되고 있는 오픈프라이머리,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지역구 의석수와 비례대표 의석수 간 비율 문제 등 민감한 의제에 대한 일괄타결 입장이 포함돼 있다.

새누리당 한 의원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대표의 의총 발언 내용을 소개했다. 김 대표가 "국민공천제, 비례제, 지역구 의석과 비례 의석 간 비율문제는 '2+2' 혹은 당 대표 간 일괄타결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2+2'는 양당 간 대표, 원내대표 조합을 의미한다.

다른 의원은 "지금까지 국회 정치개혁 특별위원회에서 논의하던 사안을 여야 당 대표 간 논의 테이블로 가져오겠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김 대표의 이날 발언은 지금까지 입장에서 크게 변화한 것이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당초 문재인 대표가 권역별 비례 도입을 제안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와의 '빅딜' 제안을 했을 때만 해도 김 대표는 "두 사안이 선거제도와 공천제도로 서로 층위가 다르나, 정개특위에서 논의해 볼 문제"라고 말했었다.

김 대표가 그간 견지해 온 '정개특위 논의' 원칙은 대표 간 '일괄 타결'로, '오픈프라이머리 별도 추진'은 '권역별과 연동 가능' 입장으로 선회했다.

김 대표의 발언을 들은 뒤 정개특위 새누리당 간사인 정문헌 의원은 "제 거취 문제까지 함께 논의해 달라"고 의원들에게 호소했다고 한다. 논의 틀이 양당 대표 간 논의사안으로 바뀌는 것의 의미는 '더 이상 당 지도부가 정개특위를 신뢰하지 않는다' 식의 해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김 대표의 입장 선회는 '지역구 의석수' 문제가 새누리당의 발목을 잡게 되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이뤄졌다. 이날 의총에선 '의원정수를 300명에 고정한다'는 정개특위 여야 합의를 추진하게 되면 지역구 의석수가 246석에 동결 돼 농촌지역 의석수가 줄어들게끔 된다는 의제가 논의됐다.

'농촌 대표성'을 명분으로 지역구 의석수를 늘리고 비례대표를 줄여야 하는 새누리당 입장에선 '비례 축소 절대 불가'를 외치고 있는 새정치연합과 정의당을 설득할 필요성이 있다.

야권에 대한 설득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결국 김무성 대표가 직접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을 인정하게 돼 버렸다는 얘기다.

하지만 총선 룰을 놓고 여야 간 당 대표 협상 혹은 '2+2' 협상이 당장 현실화되기는 힘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새누리당 일각에선 "문재인 대표의 당내 위상이 총선 룰을 놓고 여당 대표와 담판을 지을 만큼인지 알 수 없다"는 말이 흘러나온다. 야당 내부 계파 간 입장이 갈리고 있어 문 대표의 입장이 대표성을 띨 수 있겠느냐는 의구심의 우회적 표현이다.

새정치연합 입장에서도 김무성 대표의 대표성을 문제 삼을 수 있다. 김 대표의 경우 오픈프라이머리 혹은 상향식 공천제인 '국민공천제'를 강하게 밀고 있지만, 친박(親朴·친박근혜) 성향의 의원들은 '역(逆)선택', '고(高)비용' 등의 약점을 거론하며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김 대표가 '전략공천 불가피'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새정치연합과 '여야 동시 오픈프라이머리 실시' 협상을 하겠다고 견지하는 태도로 볼 때 청와대와 친박이 요구하고 있는 '전략 공천 실시' 요구를 수용하면서 타협점을 찾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김 대표가 친박, 야당, 당내 농촌지역 의원 등 제 정치집단의 요구사항을 두루 만족시키는 절충안을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