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정부에서 블랙프라이데이 행사를 너무 촉박하게 진행한 탓이 크죠. 저희는 연례 마케팅을 연초에 계획하는데 갑자기 세일을 하라고 압박을 한다고 해서 할 수가 없어요. 그래서 이번 블랙프라이데이엔 참여할 수 없었습니다" (모 제조업체 홍보팀 관계자)
정부가 '한국 블랙프라이데이'를 정례화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난 1일부터 4일 동안 백화점 매출 실적을 근거로 내수가 살아났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백화점만 웃었을 뿐, 재래시장과 제조업체, 소비자는 울상이었다. 이번 행사에서 드러난 정부의 졸속 행정 추진, 제조업체 쥐어짜기 등의 부작용을 해결하지 않는 한 소비자들과 제조업체들의 조롱과 비판을 피해갈 순 없어 보인다.
이번 한국 블랙프라이데이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히는 것이 바로 행사의 '졸속' 추진이다. 소비를 활성화시키겠다며 정부 주도로 '번갯불에 콩구워 먹듯' 세일에만 집중한 것이 화근이라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편의점과 전통시장과 같은 중소업체들의 참여는 미비했고 결국 유통업체만 참여하는 '반쪽 행사'에 그쳤다.
유통업계는 정부가 한국과 미국의 유통구조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데서 문제가 발생했다고 보고 있다. 미국은 백화점 등 유통업체가 제조업체로부터 '직매입'을 통해 상품을 사들이는 구조여서 상품이 팔리지 않을 경우 유통업체가 재고를 떠안지 않기 위해 연말에 행사 등을 통해 재고를 털어낸다. 따라서 전자제품, 명품 잡화 등이 블랙프라이데이 상품으로 대거 나올 수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유통업체는 매장을 빌려주고 수수료로 이득을 얻는다. 재고 부담도 제조업체가 진다. 따라서 유통업체만 참여하는 이번 블랙프라이데이 행사에 할인 품목으로 가전제품이 대대적으로 선정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오히려 중소 제조업체들의 경우 블랙프라이데이가 '악재'로 작용할 수도 있다.
갑작스러운 정부와 유통업체의 압박에 할인 폭을 늘릴 경우 그 부담을 고스란히 제조업체가 져야하기 때문이다.
한 중소 제조업체 관계자는 "아무리 백화점에서 수수료를 깎아준다 하더라도 할인 품목이 큰 상품을 팔고 난 뒤 수수료를 내면 납품업체로선 남는게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한국 블랙프라이데이의 정례화가 성공하려면 미국처럼 1년, 최소한 6개월의 시간을 두고 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유통업체와 제조업체, 재래시장 상인회 등이 머리를 맞대고 준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는 동시에 업체들이 행사의 진행 날짜와 선정 품목 등 실무적인 부분을 담당할 수 있게 해야한다는 것이다.
조윤미 녹색소비자연합 공동대표는 "참여 업체들이 '울며 겨자먹기'가 아니라 신상품을 위한 재고떨이, 실질적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유도해야 한다"면서 "장기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부처 내 전담팀을 꾸려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행사 시점을 연말로 옮겨야 한다는 의견도 대다수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연말이 되면 시즌 상품들이 대폭 할인돼 많은 물량이 공급될 수 있었을 것"이라면서 "미국이 왜 연말에 블랙프라이데이를 하는지만 생각해봐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군다나 이 시기는 중국 국경절 등의 포함된 황금 연휴가 있고 결혼식 등 행사가 많아 정기 세일 등의 행사만 했어도 알아서 매출이 늘어났을 시기란 것이 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유커들이 10월 황금 연휴에 여행 목적으로 왔다가 쇼핑까지 한다. 그런데 연말에 블랙프라이데이를 하게 되면 쇼핑이라는 유인책으로 또 한 번 한국으로 오게할 수 있지 않겠냐"며 "소비자 혜택이나 업계의 이익을 위해서라도 연말 행사가 더 나을 것 같다"는 의견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