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집계결과 28일 오후 2시 현재 전체투표율은 13.7%에 그쳤다. 올해 상반기 재보선이 22.5%, 지난해 상반기 재보선이 23.5%인 점을 감안하면 거의 반토막 수준이다.
심지어 국회와 가까운 영등포구 제3선거구 서울시의회의원 재선거 조차도 2시 현재 투표율이 8.2%에 그쳐 선거 무관심이 어느 정도 심각한 지 여실히 보여준다.
이는 지난 23~24일간 실시된 사전투표율에서 이미 조짐이 감지됐다. 전국평균 사전투표율은 3.58%로, 지난해 7.30 재보선의 7.98%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현재의 추세라면 이번 재보선의 전체 투표율이 20% 안팎에 그칠 것이라는 게 중앙선관위의 예상이다.
그렇다면 투표율이 이처럼 극히 저조한 이유는 뭘까?
우선 국정교과서 등 초대형이슈에 묻혀 재보선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여지가 적었다. 검인정을 국정으로 바꾸려는 정부의 시도와 야당의 반발, 학계 및 시민단체의 반발, 박근혜 대통령의 시정연설 등이 언론의 지면을 장식하면서 재보선은 거의 취급되지 못했다. 물론 여기에는 언론의 관심부족도 유죄(有罪)다.
선거단위가 작은 것도 요인일 것이다. 운동경기에서도 초대형 매치가 흥행을 주도하듯 선거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국회의원이나 광역단체장 선거 없이 기초단체장 1곳과 광역.기초의원 선거만이 치러져 전국단위로 관심을 끌만한 요소가 적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앙당의 관심부족이 가장 큰 문제다. 지역의 대표자가 될만한 인물을 후보로 공천했으면 각 당이 최선을 다해 지원하는게 중앙당의 역할인데, 이번 선거에선 그런 모습이 거의 실종됐다.
서울 영등포에서 치러지는 서울시의원 선거에는 김무성, 문재인 두 여야 대표가 모두 지원유세를 하지 않을 정도였다.
정치권 관계자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여야 지도부가 이번 선거 결과로 입지가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해 재보선의 의미를 일부러 축소하는 것 아니냐”고 분석했다.
투표율이 낮으면 선거결과는 결국 조직이 좌지우지한다. 민심과 크게 동떨어진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얘기다. 10명 중 2명만이 참가한 선거로 지역일꾼을 뽑는다는 것은 대표성에도 문제가 있고 지방자치의 취지도 충족하지 못하는 매우 불행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