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유화 국면이 연초 '반짝효과'에 그치지 않고 전반적 남북관계 개선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는 신년사에서 "북남대화와 관계 개선을 위해 앞으로도 적극 노력할 것이며 진실로 민족의 화해와 단합, 평화와 통일을 바라는 사람이라면 누구와도 마주앉아 민족문제, 통일문제를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4일 정례 언론브리핑에서 북측이 '남북관계 개선'을 언급한 것에 주목하며 "남북 간 신뢰를 통해서 한반도 평화통일 시대를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물론 북한은 지난해 신년사에서도 최고위급 회담을 언급하며 기대치를 한껏 높였지만, 실제로 보여준 것은 지뢰도발에 따른 일촉즉발의 무력충돌 위기였다.
오히려 올해 신년사는 지난해에는 없던 '정의의 성전'이나 '조국통일대전' 같은 강경 표현까지 동원한 점에서 '화전 양면' 성격도 있다.
또 북한이 이번에 "누구와도 마주앉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겠다"고 한 것은 과거의 냉전식 통일전선전술을 연상케한다는 점에서 섣부른 낙관은 금물이다.
동국대 북한학과 김용현 교수는 "북측이 박근혜 정권에게 공을 넘기고 남북관계의 냉각 책임을 남측에 전가하면서 앞으로 북측이 판을 끌고 가려는 의도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신년사가 '선군'보다는 '경제'를 앞세우고, 특히 핵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점은 의미가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 교수는 "올해 당 대회 개최뿐만 아니라 인민생활 향상에 큰 목표를 두기 때문에 나름대로 대외관계 안정화가 필요하고, 대남·대중관계도 개선돼야 하기 때문에 올해 핵 문제는 크게 부각시키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어찌됐든 한일관계는 위안부 협상 타결을 통해 일단락 됐기 때문에, 앞으로는 적극적인 대북정책을 통해 4강 외교의 지렛대를 키울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기존의 제재 중심의 대북정책으로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중단시키고 북한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에 명백한 한계가 있다"며 "보다 대담하고 적극적인 대북 접근을 통해 북한의 내부와 대내외 정책의 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