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관계자는 "이전 1~3차 핵실험 때 나타났던 '계측장비 설치'나 '갱도 입구 메우기' 등 정상적 준비과정이 포착되지 않았다"며 "북한이 핵실험 관련 사항의 노출을 막기 위해 철저히 은폐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간 긴밀한 정보 공조가 이뤄졌고, 우리 군은 핵실험 준비시설을 계속 주목·감시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까지 감시대상 시설에서 이전과 같은 징후가 없었다"며 "이번 실험은 1~3차 실험때 과정과는 패턴이 다르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2006년 1차 핵실험에서 2013년 3차 핵실험 때까지는 북한의 준비작업 상황이 군 정보망에 잡혔고, 갱도 메우기가 실시되면 이로부터 2~3주 뒤 실험이 강행됐었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이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핵실험은 최소 한달 정도 전에 징후를 알아낼 수 있다"던 국방부의 호언장담도 이 경험칙에 의거한 것이었다는 얘기다.
신년사에서 핵개발 의지를 드러내지 않았던 북한이 돌연 핵실험을 강행하는 등 핵능력 '과시' 대신 '은폐'를 선택한 결과, 우리뿐 아니라 미국의 정보망에도 잡히지 않았다는 게 군 당국의 견해다. 군 관계자는 "미국도 계속 감시했지만 임박 징후로 볼 요소가 식별되지 않았다"며 "군사정찰 위성이 CCTV처럼 24시간 감시를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결국 북한은 정찰위성의 사각이 생기는 시간대에 준비를 했거나, 한미 양국의 눈을 다른 지역·시설에 묶어둔 채 의외의 장소에서 기습 실험에 나섰을 가능성이 있다.
어쨌거나 이 역시 한미연합 감시자산의 허점을 드러낸 셈이고, 군사안보상 위협요인이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시킨 게 된다.
군의 다른 관계자는 "북한이 핵도발 행태를 바꾸고 있기 때문에, 우리도 추적에 있어서 다른 방법을 찾아야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