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만영화 감독 연상호의 '딜레마'…애니·실사영화와 웹툰 사이

'서울역'과 '부산행'을 연출한 연상호 감독. (사진=NEW 제공)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경계, 그 어딘가에 연상호 감독이 서 있다.


첫 실사 영화 '부산행'으로 천만 관객이라는 잭팟을 터뜨렸지만 정작 그 당사자는 고민이 깊다. 여전히 애니메이션 연출을 향한 열망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양학과를 졸업한 연상호 감독은 애초에 '화풍'에 갇히고 싶지 않아 애니메이션 감독의 길을 선택했다.

그는 지난 17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한 음식점에서 열린 '서울역' 미디어데이에서 "관객들이 나를 작품성 있는 감독으로 봐주는 것도 좋지만 사실 '특유의 색채'라는 것에서 벗어나고 싶어서 애니메이션 감독이 됐다"고 밝혔다.

'노선에 대한 고민이 없냐'는 질문에는 함께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온 스태프들의 이야기를 먼저 꺼냈다.

연 감독은 "함께 일하는 스태프들이 있는데 '서울역'처럼 8억 원 들여 만든 애니메이션에 일반적으로 관객들이 2만 명 정도밖에 들지 않는다. 수익이 나지를 않으니 몇년 째 월급이 동결될 수밖에 없다"고 쉽지 않은 사정을 토로했다.

이어 "스태프들의 결정에 따를 것 같다. 대중성을 선택하든, 지금까지처럼 마니아들에게 사랑받는 애니메이션을 만들든 스태프들이 가고자 하는 방향이 중요하다고 본다"고 이야기했다.

굳이 '부산행'이 아니더라도 연 감독은 이미 애니메이션 작품들로 해외 유수 영화제에서 인정받았다. 그러나 상황이 너무 힘드니 트로피도 그저 공허한 결과물일 수밖에 없었다. 투자는 박하고, 마케팅은 없다시피 한 곳. 한국 애니메이션 업계의 열악한 현실이다.

연상호 감독은 "일단 어떤 아이템을 가져가도 투자가 잘 되지 않는다. 마케팅도 실사 영화 마케팅처럼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그럴 돈이 없다. 200만 관객을 넘은 '마당을 나온 암탉'이 그나마 제대로 된 마케팅을 했다고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문제는 관객 장벽이 두텁고, 시장 규모가 지나치게 작다는 점이다.

그는 "우리나라에서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한 동안 침체기를 겪다가 잘되기 시작한지 얼마 안 됐다. 디즈니조차 이 시장을 뚫기 어려웠다는 이야기다. 일단 한국에서는 애니메이션이 하위 문화로 취급되기도 하고, 기본적인 시장 규모부터 차이가 나서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향후 웹툰으로의 전향도 아주 가능성 없는 이야기는 아니다. 연상호 감독은 영화보다는 체계적인 웹툰 시장 고용 시스템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웹툰도 해볼까 생각을 많이 했었다. 웹툰은 영화처럼 많은 자본을 책임지는 콘텐츠가 아니기 때문에 창작자의 상상력이나 재량이 많이 허용된다"면서 "국내 영화계에서 이제야 표준계약서가 쓰이기 시작하고 있는데 형성된 지 얼마 되지 않는 웹툰 시장은 고용 체계가 훨씬 잘 잡혀 있다"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