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들은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과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 등을 꼽았다.
한국은행이 21일 공개한 '2024년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 국내외 금융기관, 연구소, 대학, 해외 투자은행 등의 전문가 78명은 이같은 의견을 냈다.
금융시스템 주요 리스크 요인에 대해 1순위 응답빈도수 기준으로, 26.9%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 20.5%는 '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를 꼽았다.
우선순위에 상관없이 단순 응답빈도수로 보면, 대내 리스크 요인으로 ①'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61.5%), ②'내수회복 지연 등으로 인한 국내 경기부진'(51.3%), ③'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39.7%) 등을 지목했다.
대외 리스크 요인으로는 ①'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56.4%), ②'미국의 공급망 재편전략 등 주요국 자국우선주의 산업정책 강화'(39.7%) 등을 선택했다.
위험이 언제 나타날지에 따라 요인을 시계별로 나누면 단기(1년 이내) 위험 요인에는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 국내 경기 부진, 자영업자 부실 확대가, 중기(1~3년) 위험 요인에는 가계부채, 인구구조 변화, 자국우선주의 정책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실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요인은 인구구조 변화,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 자국우선주의 정책, 국내 경기 부진, 자영업자 부실 확대로 조사됐다.
가계부채에 대해서는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이 크지만, 발생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월 29일부터 이달 8일까지 전자설문시스템을 이용한 서베이(필요시 유선·방문 심층 면담 병행) 방식으로 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총 78명이 응답(응답률 96.3%)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