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역성장 등의 큰 충격을 받으면, 자영업·일용직·고령 가구를 중심으로 대출 연체 비중이 두 배 가량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몇 년 동안 가계부채 가운데 주택담보대출(2021년 말 56%→올해 3분기 말 61.9%), 고정금리(29.4%→45.3%), 분할 상환(31.8%→39.3%) 방식 대출 비중이 증가했다.
약정 만기 30년 초과 주택담보대출(25.1%→41.0%), 60대 이상 고령층 대출(18.5%→20.0%) 비중도 커졌다.
한은은 가계부채 구조 변화 영향을 건전성 측면에서 평가하기 위해 거시경제 충격으로 가계소득이 줄고 자산 가격이 떨어지는 시나리오를 가정해 대출 상환 위험을 추정했다.
분석 결과 '악화·심각 시나리오'에서 대출 가구 중 연체 가구의 비중은 2026년을 기준으로 각 4.1%, 5.1%까지 뛰었다. 2023년 연체 가구 비율(2.5%)보다 1.6%포인트(p), 2.6%p 각각 높은 수준이다.
특히 자영업·일용직·고령 가구일수록 연체 비중이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특히 저소득층의 부채 의존도가 커지면 소비가 제약될 우려가 있다"며 "고령층 위주로 부채 축소가 지연돼 은퇴 등으로 소득이 감소하면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