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 발효를 앞두고, 부산항만공사가 수출 물류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사와 항만 운영사와의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하며 총력 대응에 나섰다.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오는 9일부터 발효되는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조치에 대비해 지난 4일 긴급 간담회를 열고, 국내 수출 화물이 차질 없이 선적될 수 있도록 선사 및 터미널 운영사와의 협조 체계를 강화했다고 7일 밝혔다.
부산항은 미주로 향하는 정기 컨테이너 노선이 기항하는 아시아의 '라스트 포트(Last Port)'로, 관세 적용 직전까지 수출 화물을 실어 나를 수 있는 전략적 항만이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국내 수출 화주에게는 관세 부담을 피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로 부산항의 역할이 강조된다.
BPA는 지난 4일 오전 부산지역 선사 지사장 간담회를 통해 수출화주의 선적 스케줄 혼선을 방지하고, 선석 스케줄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어 오후에는 터미널 운영사 사장단과의 회의를 통해 긴급 대응 체계 유지를 위한 실질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이 자리에서는 미주행 화물의 선적 및 출항 일정 실시간 공유, 터미널 혼잡 방지를 위한 운영 최적화 방안 등도 구체적으로 논의됐다.
송상근 사장은 "부산항은 대한민국 대미 수출의 최대 관문"이라며 "선박이 정시에 출항할 수 있도록 정부, 선사, 운영사와 긴밀히 협력해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에 민첩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긴급 간담회를 계기로 부산항만공사는 미국과의 통상 변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수출입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현장 중심의 대응을 지속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