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미국대사관도 비자 인터뷰 중단…美국무부 조치 여파

연합뉴스연합뉴스

미국 국무부가 자국 유학 비자 신청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심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때까지 유학생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주한미국대사관도 비자 발급을 위한 인터뷰 진행을 잠정 중단한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외교 소식통은 이날 "주한미국대사관은 학생 및 교환 방문자 비자 인터뷰를 당분간 추가로 진행하지 않기로 한 상태"라고 말했다. 다만, 이미 예약된 인터뷰는 계획대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주한미국대사관 측도 "국무부의 비이민 비자 인터뷰 예약 일정은 유동적"이라며 "비자 신청자는 계속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고, 영사과는 이를 검토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을 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청자가 미국의 안보 또는 안전에 위협이 되는지 확인하는 절차도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주한미국대사관의 온라인 비자 신청 시스템에 접속해 보면 인터뷰 예약이 가능한 날짜를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기존에는 예약 대기 시간과 예약 가능 일정 등을 확인한 뒤 희망하는 날짜를 선택해 대면 인터뷰에 응할 수 있었다.

이번 조치는 미국 국무부가 유학생의 SNS 계정 활동을 심사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풀이된다.

미국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는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전날 서명을 통해 "영사 부서는 학생 및 교환 방문자 비자 인터뷰 일정을 즉시 추가 중단해야 한다"는 내용의 지침을 전 세계 재외공관에 발송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2023년 가자지구 전쟁 발발 이후, 미국 내 대학에서 친팔레스타인 및 반유대주의 시위가 잇따르자 시위에 참여한 유학생들의 SNS 활동을 감시하고, 비자 심사 요건에 이를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를 두고 "사상 검증을 위한 수단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외국인 학생의 온라인 활동이 미국 유학 비자 발급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