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정선거부패방지대'를 이끈 무소속 황교안 대선 후보가 제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첫날부터 '부정선거'를 외치고 있다. 투표소에 중국산 제품의 와이파이 신호가 잡힌 것이 증거라고 주장하는가 하면, 사전투표자수가 부풀려졌다는 근거 없는 글을 연달아 게시하고 있다.
황 후보는 2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부정선거 사례'라며 총 10개가 넘는 글을 올렸다. 투표 시작 1시간도 지나지 않은 오전 6시 49분부터 "벌써 많은 문제들이 드러나고 있다"고 항의했다.
이후에도 수시로 글을 올리는 중이다. "선관위는 봉인을 한 후 떼어내도 투표함에 자국이 남지 않는 비잔류형 봉인지를 사용하고 있다", "실제 투표자 수와 선관위 모니터 숫자가 차이가 난다" 등의 내용이다.
앞서 선관위는 지난 27일 황 후보와 부방대를 고발했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정당한 선거사무를 지속적으로 방해하고 사전투표관리관으로 위촉된 지방공무원을 협박했다"고 전했다. 고발장에는 △공직선거법상 유사 기관 설치 금지죄 △선거의 자유 방해죄 △투·개표 간섭 및 방해죄 △선거사무 관계자 및 시설에 대한 폭행·교란죄 △선거범죄 선동죄 등 혐의가 적시됐다.

그런데도 황 후보는 "천안 목천읍 사전투표소 입구에서 잡힌 와이파이 중에 화웨이(Huawei) 신호가 있었다"며, 이를 부정선거 증거라고 반발했다. 또 선관위가 몇 명이나 투표했는지를 알 수 없게 만들기 위해 투표소 안에 있는 CCTV를 일부러 가려두었다고도 알렸다.
실제로 투표소 현장에서는 부방대 회원들과 황 후보 지지자들 탓에 소동이 발생하는 모양새다. 이날 부산 사하구 당리동, 해운대구 중동 투표소 등에서는 황 후보 측 참관인들로부터 부정선거가 의심된다는 경찰 신고가 접수됐다. 하지만 경찰과 선관위 측은 "전산상 수치가 잘 집계되고 있다"며 사건을 종결 처리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부방대 회원이 유권자들의 성별과 입장 시간 등을 기록하기도 했고, 선거를 감시하겠다는 명분으로 투표하러 온 유권자들을 촬영하기까지 했다.
부방대는 앞서 SNS를 통해 사전투표가 진행되는 29일, 30일에 투표를 감시하겠다고 밝혔다. 교대 근무를 통해 투표소 출입구를 감시하고, 라이브 방송을 통해 투표 인원을 직접 카운팅 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황 후보는 지난 20대 대선 당시에도 '비밀문서'까지 만든 뒤, 투표하는 유권자들의 모습을 촬영하라는 행동 지침을 배포한 바 있다. 해당 문서 속에는 몰카 촬영 적발 시 "불법이 아니라고 주장하라"는 등의 문구가 적혀 있어 '일반인 몰카 지시'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한편 황 후보에 국무총리직을 맡겼던 박근혜 전 대통령은 이날 대구 달성군 사전투표소에서 투표를 마쳤다. 박 전 대통령은 "사전투표를 걱정하시는 분이 많이 계신 것 같다"면서도 "본 투표 날 사정이 안 되는 분들은 사전투표라도 적극적으로 많이 해 주셔야 투표율이 올라가지 않겠느냐"고 독려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역시 같은 날 인천 계양구에서 표를 던졌다. 김 후보는 "사전투표를 안 해버리면 전체 투표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당히 문제가 있다"며 "사전투표도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도 "여러 가지 관리 부실이 일어날 수 있고, 부정선거 소지도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많다. 그런데 이번에 철저히 관리해 그런 부분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김 후보는 대통령 후보 당내 경선 당시 부정선거 음모론에 동조하며 사전투표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황 후보와 부방대는 사전투표에서 부정행위가 많이 발생한다며 당일 투표만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