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원화로 표시된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은행에만 허용할지, 비은행에도 허용할지 금융안정까지 고려해 다방면으로 생각해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이 총재는 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5 BOK 국제콘퍼런스'에서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와 대담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자본규제가 있다"며 "비은행권에서 결제 사업에 뛰어드는 것을 허락하기 전에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자본 규제를 우회하는 방향으로 갈 것인지, 약화할지 등을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국은 미국보다 스테이블코인에 더 조심스러운 입장"이라며 "자본 규제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비슷한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월러 이사는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비은행 기관이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결제 도구'라고 정의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결제 수수료가 높은 편인데, 민간에서 결제 수수료를 낮춰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우호적일 수 있다.은행은 좋아하지 않겠지만, 공정한 기회의 장이 마련된다면 괜찮을 것"이라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또 미국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은 일시적이라고 진단했다.
월러 이사는 기조연설에서 "관세 수준이 불확실한 상황이지만, 현재로서는 약 15% 실효 관세율을 추정하고 있다"면서 "관세 영향은 올해 하반기 가장 극명하게 나타나겠지만, 물가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실효 관세율이 저관세 시나리오 수준으로 내리고, 기조적인 물가상승률이 2% 목표 수준으로 수렴하면서 노동시장이 견조하게 유지된다면, 올해 후반 '긍정적인 뉴스'에 따른 금리 인하를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