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의 배우자 김혜경 여사는 제21대 대선 선거운동 기간 내내 비교적 조용한 행보를 이어갔다. 이를 두고 지난 대선 과정에서 나온 '김건희 리스크'를 반면교사로 삼은 전략적인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김 여사는 이번 대선 공식 선거운동 기간 내내 이 대통령의 유세 일정에 한 차례도 참여하지 않았다. 또, 서울 서대문구 신촌에서 사전 투표한 이 대통령과 달리 부산 동구에서 사전 투표했다.
대부분 일정을 비공개로 진행한 김 여사는 주로 정치색과 거리가 먼 종교계와 사회적 약자층을 찾아다니며 '조용한 내조'에 집중했다. 이를 통해 '사회 통합'의 메시지를 전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 여사는 지난달 12일 서울 중구 조계종 중앙신도회 행사 참석을 시작으로 공식 선거운동 마지막 날까지도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과 가톨릭대 주교관을 방문하는 등 종교계와의 만남을 이어갔다.
지난달 14일에는 광주 오월어머니집을 찾아 5·18 유족들과 면담을 가진 후 빛고을노인건강타운 구내식당에서 배식 봉사를 했고, 지난달 27일 전남 고흥군 소록도를 방문해 한센인 주민들의 고충을 듣고 중앙교회와 성당에서 기도를 올렸다.

이 때문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씨처럼 국정에 개입하는 듯한 인상을 주지 않으려는 전략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앞서 공천 개입 논란, 비화폰 사용 의혹 등 김건희씨를 둘러싼 사법 리스크는 윤석열 정부에서 수차례 논란이 된 바 있다.
김 여사는 법인카드 사적 유용 등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지만, "모든 것이 저의 불찰"이라며 사과한 뒤 대중 앞에 나서지 않았다. 이후 대선 선거운동 기간에도 조용히 이 대통령의 뒤에서 내조를 이어갔다.
이와 관련,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4일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김혜경 여사는 A 학점"이라며 호평했다. 그러면서 "정치는 옳고 그른 걸 따지는 문제가 아니라 국민들의 상식과 같이 가는 것"이라며 "국민들은 영부인이 대통령처럼 나와서 설치는 걸 별로 안 좋아한다. 내조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건희씨는 사회활동을 하면서 이미지가 안 좋아진 사람이다. 그런 경우에는 나와서 옳은 말을 해도 국민들은 오해할 수 있다"며 "앞으로 김혜경 여사에 대해서도 무조건 비판할 거다. 말을 줄이고 조용히 내조하는 게 정답이다"라고 덧붙였다.
김 여사는 1966년 충북 충주에서 2남 1녀의 장녀로 태어났다. 서울 선화예고를 졸업하고 숙명여대 피아노과에 입학한 그는 대학 졸업 후 이 대통령을 처음 만났다. 당시 오스트리아 유학을 준비했던 그는 이 대통령이 반지 대신 어릴 적 일기장을 건네며 프러포즈해 1991년 3월 결혼했다.
이 대통령이 인권 변호사와 시민운동가를 거쳐 성남시장에 당선되면서 김 여사는 정치인 배우자의 길을 걷게 됐다. 이후 경기도지사, 당 대표를 거쳐 대선에 도전하는 과정까지 모두 함께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