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가 전국 처음으로 각종 재난 상황실을 한데 모으고자 추진 중인 '통합위기관리센터'에 창원소방본부가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4일 경남도의회에 따르면, 이재두 의원(국민의힘·창원6)은 최근 건설소방위원회의 '2024 회계연도 경남도 결산 및 예비비 지출 승인의 건' 심사 과정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통합위기관리센터는 경남도의 119종합상황실, 재난안전상황실, 응급의료상황실, 산불대책상황실, 경보통제상황실, 사이버침해대응센터 등 흩어진 재난 관련 상황을 하나로 모은 합동상황실이다.
재난 관련 부서가 각각 재난상황실을 운영함으로써 발생하는 비효율성 문제를 줄이고자 추진된다. 전기·급수 중단 등 극한 상황에서도 중단 없이 운영될 전국 첫 재난전용 청사다.
이 의원은 위기관리센터 구축까지 약 500억 원이라는 대형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경남 전역에서 발생하는 재난에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당초 목표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경남의 1/3을 차지하는 창원소방본부의 참여가 필수임을 강조했다.
인구 약 100만의 창원특례시는 전국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전국에서 유일하게 광역 시도에 준하는 소방본부를 갖고 있다.
지난 2010년 마산·창원·진해를 합친 통합창원시가 출범하면서 자율통합 인센티브로 광역 시도 급 소방권한을 줬고, 2012년 1월 경남소방본부에서 분리돼 창원소방본부가 탄생했다.

창원소방본부는 창원시만 관할하고, 나머지는 경남소방본부가 담당하는 이원화가 유지되면서 소방력 운영의 비효율성 문제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 의원은 "창원소방본부가 빠진 위기관리센터가 실효성을 충분히 발휘할지 의문이다"며 "사업을 빨리 추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그 이름에 걸맞은 효과가 날 수 있도록 창원소방본부를 설득하는 작업을 꾸준히 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