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와 청주시가 신규 야구장 건립을 공식화하면서 지역 사회의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두 자치단체가 각기 다른 건립 방식을 검토하고 나선 가운데 앞으로 사업성 확보가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7일 충북도 등에 따르면 청주시가 새 야구장 건립을 포함한 복합스포츠 콤플렉스 용역 기간을 당초 이달 말에서 오는 11월까지로 넉 달 가량 연기했다.
막대한 건설비와 유지비 등을 감안할 때 프로 구단 유치 논의와 부지 검토 등이 전제 돼야 한다는 이범석 청주시장의 판단에 따라 충분한 검토를 위해 용역 기간을 연장한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이 시장은 지난달 24일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청주에 새 야구장을 짓는 건 구단 유치가 전제돼야 한다"며 "야구장 부지 검토 등 건립 준비는 계속하되 팀이 없으면 야구장을 짓고, 운영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건립 후보지와 필요한 예산 규모 등이 추려지면 도와 논의를 거쳐 건립 계획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김영환 충청북도지사는 주변 여건 등을 고려할 때 이 시장과는 정반대로 돔 구장 건립부터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목적 돔 구장 건설을 민선8기 4년차 10대 중점 추진 과제에 포함하고, 직접 일본 돔 구장 벤치마킹까지 진행했다.
KTX오송역과 청주국제공항, 청주 오스코 등이 인접한 청주 오송에 공연 등이 가능한 수용 인원 3만 명 이상의 다목적 돔 구장을 건설하면 프로구단 유치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김 지사는 지난 달 30일 기자들과 만나 "충북은 전국에서 투자가 집중되는 곳으로 굉장히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야구 뿐만 아니라 공연과 전시를 아우르는 다목적 복합시설 형태의 돔 구장이 있으면 구단들도 서로 오고 싶어 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는 최소 5천억 원이 넘는 건립 비용 등을 고려하면 민간자본 유치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사업성을 갖춘 돔 구장 건설 구상이면 민자 유치를 통한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이재명 대통령까지 청주복합스포츠콤플렉스 조성을 공약하면서 야구장 건립 구상이 탄력을 받고 있는 가운데 결국은 도와 시의 입장 차를 좁히는 게 최우선 과제가 된 셈이다.
가뜩이나 전국적으로 돔 구장 건립과 프로구단 유치전에 불이 붙은 것도 두 자치단체 간의 시급한 의견 조율이 필요한 이유 중에 하나이다.
실제로 이미 인천과 서울, 파주 등에서 돔 구장 건립이 추진되고 있고 프로야구단 NC가 연고지 이전 가능성을 열어 두면서 복수의 지방자치단체가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전국적인 여건 등을 감안할 때 시간이 흐를수록 두 지자체의 장미빛 청사진은 공염불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야구장 건립이 구체화되지 못한다면 두 단체장 모두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선거용 포퓰리즘이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