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갑질 의혹에 그간의 침묵을 깨고 적극적인 엄호 기조로 돌아서고 있다. 이미 대통령실이 강 후보자의 임명 강행을 시사한 만큼 논란과 맞닥뜨리더라도 낙마만은 막아야 한다는 일종의 위기감이 작용하는 분위기다.
여당의 지원 사격 속에 강 후보자도 국회 청문회 이후 이렇다 할 대응 없이 버티기에 들어간 모양새다. 안팎의 사퇴 요구와 무관하게 결국 여당 단독 채택으로 강 후보자의 인사청문보고서가 국회 문턱을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은 22일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보고서를 오는 24일까지 재송부해달라고 국회에 요청했다. 갑질 논란으로 거세진 비판 여론 속에서도 강 후보자를 임명하겠다는 의사를 재차 확인한 셈이다.
지난 20일에도 이 대통령은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면서 강 후보자 임명은 절차대로 진행하겠다는 의중을 내비쳤다.
대통령실이 임명 고수 입장을 분명히 한 때를 기점으로 더불어민주당의 기류도 급선회하는 양상이다. 이전까지만 해도 잠잠하게 상황을 지켜보던 것과 달리 강 후보자의 갑질 논란을 엄호하면서 정면 돌파하고 나선 것이다.
선봉대에 선 건 민주당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다. 문 수석부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일반적인 직장내 갑질과 보좌진과 의원 관계에서의 갑질은 성격이 좀 다르다"며 강 후보자의 갑질 의혹을 두둔했다. 그러면서 "너무 가까운 사이이다 보니 가끔 사적인 심부름은 거리낌 없이 시키는 경우도 있다"며 "보좌진 중에는 그런 일을 하면서도 불만 없이 잘 해내는 보좌진도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김현정 원내대변인도 강 후보자를 지원 사격했다. 그는 이 대통령이 임명 강행 의사를 내비친 이튿날인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강 후보자는 여가부 장관으로서의 전문성을 갖춘 인물"이라며 "제기된 갑질 의혹 중에 사실과 다른 것도 확인되고 있다"고 옹호했다. 같은날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는 "(강 후보자의) 전현직 보좌진 중에 친구 같았다거나 보람 있었다는 반대 진술도 나왔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의 강경 엄호 배경에는 확산되는 비판 여론에 더 이상 소극적으로 대응해서는 안 된다는 위기 의식이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대통령실이 임명 강행 의사를 못박은 상황에 자칫 낙마로 이어지면 인사 참패라는 공세의 빌미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 대통령의 정국 운영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 같은 여당의 엄호 속에 강 후보자는 무대응으로 일관 중이다. 지난 14일 국회 인사청문회 이후 갑질 의혹이 연일 쏟아졌지만 이제껏 별다른 입장은 내놓지 않고 있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대통령의 임명 의사가 분명한 마당에 당내 옹호 목소리까지 더해지고 있으니 사실상 버티기만 하면 된다는 계산을 하고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실 기조와 발맞춰 지원 사격이 이뤄지고, 강 후보자 본인도 침묵하는 상황을 보면 결국 인사청문보고서를 여당이 단독으로 채택하겠다는 수순에 들어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일각에서는 민주당의 정면 돌파가 민심 이반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사회적 약자와 맞닿은 갑질 논란에 고개 숙이지 않는 태도가 국민 눈높이에서 반감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극우 논란이 불거진 강준욱 전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을 겨냥해 민주당 의원들이 일제히 비판의 목소리를 낸 것과도 대비된다. 다른 민주당 관계자는 "갑질 논란에는 소극적이고, 극우 논란에는 강경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자질보다는 진영 논리가 인사 기준이 된 꼴"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