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쌀 45만t·콩 6만t 공공비축 최종 확정

2025년 공공비축 시행계획 2일 국무회의 의결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올해 공공비축 매입물량과 매입가격 등을 포함한 2025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을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했다고 2일 밝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국무회의를 통해 의결된 비축 물량은 쌀 45만t, 콩 6만t 등이며 향후 세부계획을 수립해 매입할 계획이다.

정부는 기후변화와 천재지변 등으로 식량 부족 상황을 대비해 주요 식량을 비축하는 공공비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 5년간 매입물량을 보면 2021년 쌀은 35만t, 콩 2천t이었고 2022년 쌀 45만t, 콩 1만9천t, 2023년 쌀 40만t, 콩 3만3천t, 2024년 쌀 45만t, 콩 5만t이다.
 
매입가격은 수확기(10~12월) 평균 산지쌀값을 조곡(벼) 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결정하고 매입 직후에 농가에게 중간 정산금으로 포대(40㎏ 조곡 기준)당 4만 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친환경벼 전환 농가가 희망할 경우 전량을 공공비축미로 매입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친환경쌀 매입 가격을 일반벼 대비 등급별로 5%p 가격을 추가 지급한데 이어 매입 물량을 확대함으로써 고품질쌀 생산을 지속 유도하려는 취지이다.
 
올해 쌀 매입물량은 지난해와 같은 45만t이며 이 가운데 가루쌀 매입계획량은 5만t이다. 시·군별 매입 물량은 지난 2월에 이미 배정됐으며 친환경쌀의 경우 인증 시기 등을 고려해 추후 배정된다.
 
매입품종은 다수확 품종을 제외하고 삼광, 새청무, 일품 등 각 시·군에서 사전에 정한 2개 품종으로 제한하고 지정된 품종 이외의 품종으로 공공비축미를 출하할 경우 농가는 다음 연산 매입 때부터 5년간 공공비축미로 출하할 수 없게 된다.
 
농식품부는 올해 콩 생산량 확대에 맞춰 비축 물량을 6만t으로 계획함에 따라 콩 수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농식품부 변상문 식량정책관은 "올해 매입한 공공비축미는 향후 국내 수급상황에 맞춰 군급식, 가공용, 주정용, 식량원조용 등으로 판매할 계획"이라며 "국민들에게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위해 올해도 공공비축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