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사의 6년 연속 무분규 기록이 멈췄다.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 난항을 겪고 있는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이하 노조)는 3일 부분파업에 돌입했다.
이날 오후 현대차 울산 5개 공장 생산라인이 모두 멈췄다.
오전조(1직) 근무자들은 이날 오후 1시 30분부터 3시 30분까지, 오후조(2직) 근무자들은 오후 10시 10분부터 4일 0시 10분까지 생산라인 가동을 각각 멈춘다.
울산공장 조합원 2만3천여 명이 일손을 놓는 셈. 전주·아산공장도 2시간씩, 총 4시간 생산라인을 멈춘다.
노조는 4일에도 각 조가 2시간씩 파업을, 5일에는 각 조가 4시간씩 파업한다고 쟁의행위 지침을 밝혔다.
노조가 파업에 나선 것은 2018년 이후 7년만인데, 이로써 현대차의 7년 연속 무쟁의 교섭 타결은 무산됐다.
노사는 6월 18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20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주요 쟁점은 임금 인상 규모, 정년 연장, 통상임금 확대로 알려졌다.
사측은 지난 2일 기본급 9만5천 원 인상, 성과급 400%+1400만원, 전통시장 상품권 20만 원, 주식 30주 지급, 일부 수당에 통상임금 확대 적용 등이 담긴 2차 제시안을 제시했다.
노조는 조합원들의 기대에 못 미친다며 거부했다.
앞서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작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정년 최장 64세로 연장, 주 4.5일제 도입, 상여금 900%로 인상 등을 요구했다.